'흑백요리사'가 쏘아 올린 거대한 공...업계에 미풍 불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넷플릭스 <흑백요리사>
여러 논란에도 장점 돋보인 프로그램
매력적인 요리사의 존재, 세상에 알려
외식업 종사자·요리사들에게도 자극
‘맛집 리스트’ 넘어 더 큰 효과 불러오길
여러 논란에도 장점 돋보인 프로그램
매력적인 요리사의 존재, 세상에 알려
외식업 종사자·요리사들에게도 자극
‘맛집 리스트’ 넘어 더 큰 효과 불러오길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 <흑백요리사>가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둘 이상만 모여도 서로 방송 이야기를 주고받고 벌써부터 발 빠른 유튜버들은 관련한 콘텐츠를 쏟아내고 있다. 승패와 상관없이 출연했던 요리사들의 식당들은 연말까지 예약이 다 찼다고 하는 걸 보니 인기가 실감이난다. 경기침체기인 요즘 프로그램의 인기에 힘입어 파인다이닝과 같은 고급 레스토랑 중에는 낙수효과를 기대하는 곳들도 있다는 뒷말도 심심찮게 들린다. 다른 요리 프로그램이나 서바이벌 프로그램도 적잖이 나왔지만 <흑백요리사>가 세간의 주목을 유난히 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흑백요리사>를 관통하는 포인트는 바로 '공감가능한 논란'에 있다. 먼저 '계급전쟁'이라는 표제처럼 유명 요리사(백수저)와 무명 요리사(흑수저)의 계급을 나눠 경쟁 이전부터 기울어진 운동장을 만들어 냈다. 흙수저 금수저 등 현재 한국 사회에 만연한 불평등 논란과 맥을 같이 하지만 시청자는 은연중에 불평등한 상황을 당연시하게 여기게 한다. 참가자 100명 중 20명은 부전승으로 시작할 때부터 이미 강력한 논란을 안고 출발한 셈이다. 오로지 맛이 평가의 기준이라는 점도 주목할 만한 논란의 대상이다. 유사한 포맷의 <피지컬 100>의 경우 개인의 신체적인 능력이 절대적으로 작용해 승패가 명확했지만, 맛은 다른 문제다. 파스타와 비빔밥처럼 서로 다른 장르끼리 맛을 비교한다는 것 자체가 태생적인 한계를 동반한다. 대중 요리 사업가와 고급 요리 씬에서 인정받는 셰프를 심사위원으로 내세운 것 또한 논란을 만들어내고자 하는 제작진의 의도가 엿보이는 부분이다. '맛(취향)에 대해선 논쟁할 수 없다'는 오랜 격언처럼 절대적이고 정량적인 평가보다는 오로지 심사위원의 취향과 경험에 따라 평가가 갈릴 수밖에 없는 구조 또한 논란을 재생산해 내는 장치다. 음식의 맛은 흔히 이야기하는 오미(단맛,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 단순히 다섯 가지 맛의 조합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정량적인 맛뿐만 아니라 무수한 향과 질감, 온도, 원재료의 풍미, 색감 등의 무한한 조합을 통해 만들어지는 훨씬 복합적인 산물이다. 더 비극적인 건 어떤 음식에 '맛이 있다, 없다' 또는 '좋다, 나쁘다'란 평가가 생산자와 소비자 어느 한쪽에 의해 결정되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취향과 문화적 배경, 미각의 민감도, 경험의 양, 컨디션에 따라 결과는 다르게 받아들여진다. 요리사가 의도하고 생각한 맛과 고객의 입맛이 다르면 평가는 다를 수밖에 없다. 그렇다 보니 누구나 좋아할 만한 단맛과 짠맛이 대중 음식 맛의 주를 이루게 된 이유이기도 하다.
논란을 주제로 논란거리를 매회 만들어 내는 <흑백요리사>는 시청자 입장에서 볼 때 매력적이다. 태생적으로 동반되는 불공정함에 대한 불편함을 의식하는 이들도 있지만 보는 이들의 눈길과 식욕, 호기심을 자극하는 연출에 대한 평가는 시청률이 보여준다. 해외에선 음식 서바이벌조차 <오징어게임>처럼 자극적이고 가차 없는 경쟁으로 흥미롭게 풀어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음식을 만들고 다루는 이의 입장에서 <흑백요리사>는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장점이 돋보이는 프로그램이다. 먼저 다양한 경험을 가진 매력적인 요리사들이 존재하고 있음을 단숨에 알렸다는 점이다. 단번에 100명이나 되는 요리사들을 섭외해 비록 단시간이지만 그들의 배경과 요리를 보였다는 점에서 그동안 누구도 시도하지 못한 결과물을 만들어 냈다. 이미 유명한 요리사들부터 재야의 고수들까지 등장시켜 경쟁하는 과정에서 시청자들은 요리 세계에 더해 더욱 관심을 두게 되고 정보를 알게 된다.
이는 식문화가 성장하는 데 큰 원동력이 된다. 지금은 익숙하고 흔해진 뇨끼가 불과 10년 전까지만 해도 흔치 않은 메뉴였다는 걸 생각해 보자. 느닷없이 생면 파스타가 유행하기 시작한 것도 거의 매스컴의 영향이 컸다. 어느 날 갑자기 생겨난 게 아니라 원래 있던 요리들이지만 단지 우리가 몰랐을 뿐이다. 소비자들의 수준과 기준이 높아질수록 한 사회의 식문화도 함께 발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흑백요리사>의 물량 공세는 그 자체로 높은 평가를 받을 만하다. 외식업에 종사하는 이들, 특히 많은 요리사에게 자극을 주었다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자신의 요리를 하는 요리사들은 오히려 다른 요리사들의 요리하는 모습을 볼 일이 크게 없어 매너리즘에 빠지거나 자기만의 세계에 갇히기 쉽다. 방송을 통해 다른 요리사들의 작업 모습을 보면서 스스로 어떤 위치에 있고 앞으로 어떤 요리 세계를 펼쳐나갈지 한 번쯤 생각해 볼 수는 기회를 마련해 주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흑백요리사>를 통해 젊고 열정 넘치고 재능 있는 요리사들의 모습을 통해 대한민국 음식계의 현주소뿐만 아니라 미래를 엿볼 수 있어서 흥미롭게 볼 수 있었다. 어찌 되었든 <흑백요리사>가 쏘아 올린 요리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재미가 자칫 '맛집 리스트 100선'으로 귀결되어 일차원적으로 소비되는 것보다 더 큰 긍정적인 효과를 업계에 불러오길 기대해 본다.
장준우 셰프/푸드 칼럼니스트
<흑백요리사>를 관통하는 포인트는 바로 '공감가능한 논란'에 있다. 먼저 '계급전쟁'이라는 표제처럼 유명 요리사(백수저)와 무명 요리사(흑수저)의 계급을 나눠 경쟁 이전부터 기울어진 운동장을 만들어 냈다. 흙수저 금수저 등 현재 한국 사회에 만연한 불평등 논란과 맥을 같이 하지만 시청자는 은연중에 불평등한 상황을 당연시하게 여기게 한다. 참가자 100명 중 20명은 부전승으로 시작할 때부터 이미 강력한 논란을 안고 출발한 셈이다. 오로지 맛이 평가의 기준이라는 점도 주목할 만한 논란의 대상이다. 유사한 포맷의 <피지컬 100>의 경우 개인의 신체적인 능력이 절대적으로 작용해 승패가 명확했지만, 맛은 다른 문제다. 파스타와 비빔밥처럼 서로 다른 장르끼리 맛을 비교한다는 것 자체가 태생적인 한계를 동반한다. 대중 요리 사업가와 고급 요리 씬에서 인정받는 셰프를 심사위원으로 내세운 것 또한 논란을 만들어내고자 하는 제작진의 의도가 엿보이는 부분이다. '맛(취향)에 대해선 논쟁할 수 없다'는 오랜 격언처럼 절대적이고 정량적인 평가보다는 오로지 심사위원의 취향과 경험에 따라 평가가 갈릴 수밖에 없는 구조 또한 논란을 재생산해 내는 장치다. 음식의 맛은 흔히 이야기하는 오미(단맛,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 단순히 다섯 가지 맛의 조합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정량적인 맛뿐만 아니라 무수한 향과 질감, 온도, 원재료의 풍미, 색감 등의 무한한 조합을 통해 만들어지는 훨씬 복합적인 산물이다. 더 비극적인 건 어떤 음식에 '맛이 있다, 없다' 또는 '좋다, 나쁘다'란 평가가 생산자와 소비자 어느 한쪽에 의해 결정되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취향과 문화적 배경, 미각의 민감도, 경험의 양, 컨디션에 따라 결과는 다르게 받아들여진다. 요리사가 의도하고 생각한 맛과 고객의 입맛이 다르면 평가는 다를 수밖에 없다. 그렇다 보니 누구나 좋아할 만한 단맛과 짠맛이 대중 음식 맛의 주를 이루게 된 이유이기도 하다.
논란을 주제로 논란거리를 매회 만들어 내는 <흑백요리사>는 시청자 입장에서 볼 때 매력적이다. 태생적으로 동반되는 불공정함에 대한 불편함을 의식하는 이들도 있지만 보는 이들의 눈길과 식욕, 호기심을 자극하는 연출에 대한 평가는 시청률이 보여준다. 해외에선 음식 서바이벌조차 <오징어게임>처럼 자극적이고 가차 없는 경쟁으로 흥미롭게 풀어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음식을 만들고 다루는 이의 입장에서 <흑백요리사>는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장점이 돋보이는 프로그램이다. 먼저 다양한 경험을 가진 매력적인 요리사들이 존재하고 있음을 단숨에 알렸다는 점이다. 단번에 100명이나 되는 요리사들을 섭외해 비록 단시간이지만 그들의 배경과 요리를 보였다는 점에서 그동안 누구도 시도하지 못한 결과물을 만들어 냈다. 이미 유명한 요리사들부터 재야의 고수들까지 등장시켜 경쟁하는 과정에서 시청자들은 요리 세계에 더해 더욱 관심을 두게 되고 정보를 알게 된다.
이는 식문화가 성장하는 데 큰 원동력이 된다. 지금은 익숙하고 흔해진 뇨끼가 불과 10년 전까지만 해도 흔치 않은 메뉴였다는 걸 생각해 보자. 느닷없이 생면 파스타가 유행하기 시작한 것도 거의 매스컴의 영향이 컸다. 어느 날 갑자기 생겨난 게 아니라 원래 있던 요리들이지만 단지 우리가 몰랐을 뿐이다. 소비자들의 수준과 기준이 높아질수록 한 사회의 식문화도 함께 발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흑백요리사>의 물량 공세는 그 자체로 높은 평가를 받을 만하다. 외식업에 종사하는 이들, 특히 많은 요리사에게 자극을 주었다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자신의 요리를 하는 요리사들은 오히려 다른 요리사들의 요리하는 모습을 볼 일이 크게 없어 매너리즘에 빠지거나 자기만의 세계에 갇히기 쉽다. 방송을 통해 다른 요리사들의 작업 모습을 보면서 스스로 어떤 위치에 있고 앞으로 어떤 요리 세계를 펼쳐나갈지 한 번쯤 생각해 볼 수는 기회를 마련해 주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흑백요리사>를 통해 젊고 열정 넘치고 재능 있는 요리사들의 모습을 통해 대한민국 음식계의 현주소뿐만 아니라 미래를 엿볼 수 있어서 흥미롭게 볼 수 있었다. 어찌 되었든 <흑백요리사>가 쏘아 올린 요리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재미가 자칫 '맛집 리스트 100선'으로 귀결되어 일차원적으로 소비되는 것보다 더 큰 긍정적인 효과를 업계에 불러오길 기대해 본다.
장준우 셰프/푸드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