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발점? 쌤~ 왜 욕하세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는 7일 한글날 578돌을 맞아 초·중·고 교원 5,848명을 대상으로 '학생 문해력 실태'를 조사한 결과 91.8%가 "과거보다 문해력이 떨어졌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설문에 응한 교원 2명 중 1명(48.2%)은 학년 수준 대비 문해력이 부족한 학생이 '21% 이상'이라고 답했으며 '31% 이상' 답변 또한 19.5%나 됐다.
또 응답자의 30.4%가 '타인의 도움 없이는 교과서를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21% 이상' 된다고 답했으며 21.4%는 '문제를 이해하지 못해 시험을 보기도 곤란한 학생'이 '21% 이상'이라는 답했다.
교총은 학생의 문해력 부족으로 빚어진 난감했던 사례로 '족보'를 '족발보쌈 세트'로 알고 있다든지, '이부자리'를 별자리 가운데 하나로 여기는 경우가 있었다고 소개했다.
또 '사건의 시발점이다'라고 말한 교원에게 왜 욕을 하느냐는 반응을 보이는가 하면 '사기저하'의 사기가 남을 속인다는 뜻의 '사기(詐欺)'로 이해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밝혔다.
학생 문해력 저하의 원인에 대해 교원들은 '스마트폰·게임 등 디지털매체 과사용(36.5%)'을 1위로 꼽았으며 이어 '독서 부족(29.2%)'과 '어휘력 부족(17.1%)', '기본 개념 등 지식 습득 교육 부족(13.1%)' 등의 이유를 들었다.
또 이 같은 문해력 부족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선 가장 많은 32.4%가 '독서활동 강화'를 꼽았으며 이어 '어휘 교육 강화(22.6%)', '디지털매체 활용 습관 개선(20.2%)', '토론·글쓰기 등 비판적 사고 및 표현력 교육 강화(11.4%)'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교총은 "우리나라의 전체 문맹률은 1~2%대로 매우 낮다고 하지만 이것이 문해력이 높다는 것으로 착각해서는 안된다"며 "학생 문해력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진단·분석부터 시작하고 디지털기기 과의존·과사용 문제를 해소하는 법·제도 마련과 독서·글쓰기 활동을 강화하는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원식기자 ryan@wowtv.co.kr
설문에 응한 교원 2명 중 1명(48.2%)은 학년 수준 대비 문해력이 부족한 학생이 '21% 이상'이라고 답했으며 '31% 이상' 답변 또한 19.5%나 됐다.
또 응답자의 30.4%가 '타인의 도움 없이는 교과서를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21% 이상' 된다고 답했으며 21.4%는 '문제를 이해하지 못해 시험을 보기도 곤란한 학생'이 '21% 이상'이라는 답했다.
교총은 학생의 문해력 부족으로 빚어진 난감했던 사례로 '족보'를 '족발보쌈 세트'로 알고 있다든지, '이부자리'를 별자리 가운데 하나로 여기는 경우가 있었다고 소개했다.
또 '사건의 시발점이다'라고 말한 교원에게 왜 욕을 하느냐는 반응을 보이는가 하면 '사기저하'의 사기가 남을 속인다는 뜻의 '사기(詐欺)'로 이해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밝혔다.
학생 문해력 저하의 원인에 대해 교원들은 '스마트폰·게임 등 디지털매체 과사용(36.5%)'을 1위로 꼽았으며 이어 '독서 부족(29.2%)'과 '어휘력 부족(17.1%)', '기본 개념 등 지식 습득 교육 부족(13.1%)' 등의 이유를 들었다.
또 이 같은 문해력 부족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선 가장 많은 32.4%가 '독서활동 강화'를 꼽았으며 이어 '어휘 교육 강화(22.6%)', '디지털매체 활용 습관 개선(20.2%)', '토론·글쓰기 등 비판적 사고 및 표현력 교육 강화(11.4%)'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교총은 "우리나라의 전체 문맹률은 1~2%대로 매우 낮다고 하지만 이것이 문해력이 높다는 것으로 착각해서는 안된다"며 "학생 문해력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진단·분석부터 시작하고 디지털기기 과의존·과사용 문제를 해소하는 법·제도 마련과 독서·글쓰기 활동을 강화하는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원식기자 ryan@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