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부산대, 국제 연구진과 메시지 개입 방식이 미치는 영향 분석
"기후변화 어두운 미래 강조해도 개인 행동에 영향은 미미"
기후 변화로 인한 어두운 미래를 강조하는 메시지가 개인의 행동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7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따르면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정동일 교수팀과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설선혜 교수팀은 63개국 255명의 국제 연구진과 함께 메시지 개입 방식이 기후 변화에 대한 인식과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국제 연구팀은 기후 변화 대응 행동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11가지 심리적 메시지를 선정했다.

메시지에는 기후 변화로 인한 어두운 미래, 기후 과학자 의견, 타인의 우려, 미래 세대에 대한 영향 등이 포함됐다.

연구팀은 각 메시지의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 기후 변화 심각성에 대한 개인의 믿음 ▲ 기후 변화 대응 정책 지지 정도 ▲ 각종 기후 위기 정보 공유 의지 ▲ 실제 나무 심기 캠페인 수행 등 네 가지 지표를 이용했다.

연구팀은 63개 국가로부터 총 5만9천440명의 참가자 데이터를 확보했다.

분석 결과 어두운 미래를 강조하는 메시지는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에서 정보 공유에는 효과적이나, 정책 지지나 개인 신념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나무 심기 캠페인 활동에서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했다.

이는 부정적인 메시지가 무력감을 유발해 행동 변화를 방해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다른 메시지로도 실제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사람들은 다양한 기후 메시지에 다르게 반응했고, 국가마다 반응도 달라 기후 변화에 대한 행동 유도가 어려운 과제임을 확인했다.

연구팀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기후 위기 대응에 만능 해결책이 없음을 보여준다"며 "메시지가 어떻게 작동하고 어떤 맥락에서 효과를 발휘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과학자와 정책 입안자들은 각 청중에 맞춘 메시지를 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후변화 어두운 미래 강조해도 개인 행동에 영향은 미미"
정동일 교수는 "연구를 통해 기후 변화에 대한 인식과 행동 변화를 이끄는 메시지 전략을 이해할 수 있었다"며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연구와 정책이 함께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지난 2월 7일 게재됐다.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연구(SSK) 지원사업으로 이뤄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