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글라 '독립유공자 자녀 공직할당' 일시 중단…시위는 그대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독립전쟁 참가자 자녀에 30% 할당…취업난 대학생들 "법으로 못박아라" 요구
방글라데시 대법원이 독립전쟁 참가자 자녀 등에게 혜택을 주는 '공무원 할당제'에 반대하는 대학생들 전국적 시위와 관련해 제도 시행을 일시 중단하는 명령을 내렸지만, 시위는 진정되지 않고 있다.
11일(현지시간) 현지 매체와 AFP통신에 따르면 대법원은 대학생 두 명이 최근에 낸 제도 폐지 탄원에 대해 전날 제도 시행을 한 달간 중단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러면서 이달 초부터 시위를 이어오는 대학생들에게 학교로 돌아갈 것을 권고했다.
시위는 지난달 다카 고등법원이 2018년 대학생 반대 시위로 정부가 폐지했던 공무원 할당제를 부활한 결정을 내린 후 시작됐다.
이어 대법원이 고법 결정을 유지하면서 시위가 더 확산했다.
이 제도는 수십만개에 달하는 공직과 관련해 독립전쟁 참가자 자녀들에게 30%, 여성과 특수지역 출신에게 각 10%를 배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대해 대학생들은 소수민족 및 장애인을 위한 6% 할당만 유지하고 나머지 할당에 대해서는 폐지 입법을 요구하고 있다.
대학교를 졸업해도 일자리가 크게 부족한 상태에서 특히 독립전쟁 자녀들이 대거 '혜택'을 보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는 게 대학생들의 주장 가운데 하나다.
대법원의 '한 달간 제도시행 중단' 명령에 대해 대학생들은 "일시적인 것"이라며 의회가 관련 입법을 할 때까지 시위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학생들은 전날에도 수도 다카 등지에서 도로를 차단하는 등 시위를 이어갔다.
그러나 셰이크 하시나 총리는 "법원 결정이 난 상태기 때문에 대학생 시위는 정당성이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비판론자들은 하시나 총리를 지지하는 친정부 단체 회원들 자녀가 공직에 진출하는 데 이 제도가 '악용'되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방글라데시 독립전쟁은 1971년 3월 서파키스탄이 총선 결과 인정을 거부하고 동파키스탄이 반발해 시작됐으며 같은 해 12월 인도의 개입으로 서파키스탄군이 동파키스탄에서 철수하면서 끝났다.
이로써 서파키스탄은 오늘날 파키스탄으로 남게 됐고 동파키스탄은 방글라데시로 독립했다.
/연합뉴스
11일(현지시간) 현지 매체와 AFP통신에 따르면 대법원은 대학생 두 명이 최근에 낸 제도 폐지 탄원에 대해 전날 제도 시행을 한 달간 중단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러면서 이달 초부터 시위를 이어오는 대학생들에게 학교로 돌아갈 것을 권고했다.
시위는 지난달 다카 고등법원이 2018년 대학생 반대 시위로 정부가 폐지했던 공무원 할당제를 부활한 결정을 내린 후 시작됐다.
이어 대법원이 고법 결정을 유지하면서 시위가 더 확산했다.
이 제도는 수십만개에 달하는 공직과 관련해 독립전쟁 참가자 자녀들에게 30%, 여성과 특수지역 출신에게 각 10%를 배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대해 대학생들은 소수민족 및 장애인을 위한 6% 할당만 유지하고 나머지 할당에 대해서는 폐지 입법을 요구하고 있다.
대학교를 졸업해도 일자리가 크게 부족한 상태에서 특히 독립전쟁 자녀들이 대거 '혜택'을 보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는 게 대학생들의 주장 가운데 하나다.
대법원의 '한 달간 제도시행 중단' 명령에 대해 대학생들은 "일시적인 것"이라며 의회가 관련 입법을 할 때까지 시위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학생들은 전날에도 수도 다카 등지에서 도로를 차단하는 등 시위를 이어갔다.
그러나 셰이크 하시나 총리는 "법원 결정이 난 상태기 때문에 대학생 시위는 정당성이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비판론자들은 하시나 총리를 지지하는 친정부 단체 회원들 자녀가 공직에 진출하는 데 이 제도가 '악용'되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방글라데시 독립전쟁은 1971년 3월 서파키스탄이 총선 결과 인정을 거부하고 동파키스탄이 반발해 시작됐으며 같은 해 12월 인도의 개입으로 서파키스탄군이 동파키스탄에서 철수하면서 끝났다.
이로써 서파키스탄은 오늘날 파키스탄으로 남게 됐고 동파키스탄은 방글라데시로 독립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