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러 '군사 밀월'에 강경 대응…韓, 러시아 수출 제재도 강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크라에 살상무기 지원 검토
정부 "러시아 선 넘었다"
전문가 "방어용부터 압박해야"
"외교적인 대응이 먼저" 의견도
정부 "러시아 선 넘었다"
전문가 "방어용부터 압박해야"
"외교적인 대응이 먼저" 의견도
정부가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여부에 대해 재검토하기로 했다. 그동안 정부는 살상무기의 비(非)지원을 원칙으로 했지만, 북·러가 군사동맹을 강화하자 가능성을 열어 놓은 것이다. 전문가들은 러시아 역시 한국의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을 한·러 관계의 ‘레드라인’으로 설정하고 있는 만큼 신중히 접근할 것을 주문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러시아가) 북한과 이런 조약을 맺는다는 것 자체를 심각하게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입장”이라며 “우크라이나에 살상무기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한국이) 갖고 있는데 그 방침을 재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살상무기 지원 금지 재검토’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무기 지원은 여러 옵션이 있고, 살상이냐 비살상이냐에 따라 다르게 지원할 여러 방법이 있다”며 “러시아가 차차 알게 하는 게 흥미진진하고, 차차 알게 해야 더 압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러시아 반응에 따라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범위를 넓히는 등 압박 수위를 강화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다만 정부 관계자는 “반드시 살상무기 지원이라고 볼 수 없고, 러시아 입장에서 꺼리는 걸 풀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푸틴 대통령의 발언은 북·러가 협정을 맺더라도 한국과 서방세계가 염두에 둔 ‘레드라인’을 넘지 않을 것이란 추정 근거로 거론됐다. 하지만 이날 공개된 북·러 조약 전문은 이 같은 기대가 ‘기만 전술’에 불과하다는 점을 우리 정부에 확인시켜 준 것이란 평가다.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은 “정부 입장에선 러시아가 선을 넘은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본다”며 “2022년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기습 침공하기 수일 전에도 푸틴은 서방과 사태 해결을 위한 대화 용의가 있다고 거짓 응수했다”고 설명했다.
선(先)외교적 대응을 요구한 외교안보 전문가도 있다. 익명을 요구한 러시아 전문가는 “대러 국제제재 강화, 한·러 국방협력협정 동결, 주한국 러시아 대사 소환까지 한 뒤 대응해도 늦지 않다”며 “러시아가 조약 체결 외에 액션이 없는데 우리가 먼저 나서면 방공식별구역(KADIZ) 침범, 북·러 군사훈련이 실제 벌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정부는 러시아 측 설명을 일단 기다린다는 입장이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푸틴 대통령은 동맹이라는 말을 전혀 쓰지 않고, 김정은 혼자서만 동맹을 외치고 있다”며 “러시아 측이 설명해오지 않을까 생각하며 지켜보겠다”고 했다.
김동현/양길성 기자 3code@hankyung.com
○“심각한 안보적 위협”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20일 기자들과 만나 전날 북한과 러시아가 체결한 ‘상호방위 군사조약’에 대해 “문서상에 보면 피습당할 경우 모든 수단을 동원해 지원한다고 돼 있기 때문에 좀 심각한 안보적 위협”이라며 “실제 어떤 의도인지, (러시아가) 어떻게 하겠다는 건지 좀 더 상세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북·러의 안보협력 강화가 한국에 위협이 될 수준이라는 점을 인정한 것이다.이어 이 관계자는 “(러시아가) 북한과 이런 조약을 맺는다는 것 자체를 심각하게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입장”이라며 “우크라이나에 살상무기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한국이) 갖고 있는데 그 방침을 재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살상무기 지원 금지 재검토’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무기 지원은 여러 옵션이 있고, 살상이냐 비살상이냐에 따라 다르게 지원할 여러 방법이 있다”며 “러시아가 차차 알게 하는 게 흥미진진하고, 차차 알게 해야 더 압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러시아 반응에 따라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범위를 넓히는 등 압박 수위를 강화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다만 정부 관계자는 “반드시 살상무기 지원이라고 볼 수 없고, 러시아 입장에서 꺼리는 걸 풀 수도 있다”고 말했다.
○러시아와의 관계 악화 불가피
그간 우리 정부는 우크라이나 및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등의 요청에도 우크라이나에 살상무기를 지원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견지해왔다. 이에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지난 6일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직접 공급하지 않은 한국에 대단히 고맙다”며 한·러 관계를 회복하고 싶다는 취지의 발언을 내놨다.이 같은 푸틴 대통령의 발언은 북·러가 협정을 맺더라도 한국과 서방세계가 염두에 둔 ‘레드라인’을 넘지 않을 것이란 추정 근거로 거론됐다. 하지만 이날 공개된 북·러 조약 전문은 이 같은 기대가 ‘기만 전술’에 불과하다는 점을 우리 정부에 확인시켜 준 것이란 평가다.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은 “정부 입장에선 러시아가 선을 넘은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본다”며 “2022년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기습 침공하기 수일 전에도 푸틴은 서방과 사태 해결을 위한 대화 용의가 있다고 거짓 응수했다”고 설명했다.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실행될까
전문가들은 정부 발표의 불가피성을 인정하면서도 추후 드러날 러시아 대응에 대한 우려를 보였다. 양욱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무기 지원 운만 띄울 게 아니라 실제 해야 한다”며 “방어용 무기인 천궁(지대공미사일), 신궁(휴대용 지대공 무기)을 수출하는 것부터 단계적으로 압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선(先)외교적 대응을 요구한 외교안보 전문가도 있다. 익명을 요구한 러시아 전문가는 “대러 국제제재 강화, 한·러 국방협력협정 동결, 주한국 러시아 대사 소환까지 한 뒤 대응해도 늦지 않다”며 “러시아가 조약 체결 외에 액션이 없는데 우리가 먼저 나서면 방공식별구역(KADIZ) 침범, 북·러 군사훈련이 실제 벌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정부는 러시아 측 설명을 일단 기다린다는 입장이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푸틴 대통령은 동맹이라는 말을 전혀 쓰지 않고, 김정은 혼자서만 동맹을 외치고 있다”며 “러시아 측이 설명해오지 않을까 생각하며 지켜보겠다”고 했다.
김동현/양길성 기자 3co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