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호진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 한경DB
장호진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 한경DB
장호진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사진)이 27일 문재인 전 대통령의 외교안보 회고록을 두고 “미국의 전직 고위 관리들이 ‘사실과 많이 다르다’고 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2017년 문재인 정부가 중국과 벌인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논란에 “중국이 사드 문제 처리하라고 하는 것에 우리는 아무 말도 못하는 이해할 수 없는 일이 반복됐다”며 “그래서 ‘굴종 외교한다’는 말이 나온 것”이라고 비판했다.

장 실장은 이날 TV조선에 출연해 ‘문 전 대통령이 회고록에서 윤석열 정부 외교 정책을 퇴행이라고 비판한 것을 어떻게 평가하느냐’는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대통령실이 문 전 대통령 회고록에 공개 입장을 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장 실장은 이날 방송에서 “(문 전 대통령의) 회고록은 나오자마자 국내외적으로 여러가지 논란이 있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2017년 말 문 전 대통령은 중국에 갔고 그때 사드 문제가 해결돼 한한령이 해제될 것처럼 얘기했다”며 “그런데 그 이후를 보면, 우리가 중국 측에 경제 재제를 해제해달라고 요구를 해야 하는데 반대로 중국이 우리에게 사드 문제를 처리하라고 하고 거기에 아무말도 못하는 일이 반복됐다”고 했다. 장 실장은 이어 “그런 일 때문에 지난 정권 말에 중국에 ‘눈치보기 외교한다’ ‘굴종외교한다’는 말이 나온 것”이라며 “저희는 그런 외교 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장 실장은 이번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선언문에 ‘한반도 비핵화’ 문구가 포함된 것을 두고 “한반도 비핵화라는 표현 자체가 들어간 것은 한반도 비핵화를 전제로, 목표로 각국 입장을 설명한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중국이 공식석상에서 (한반도 비핵화 표현을) 잘 안하는 경향이 있는 데 이번에는 저 표현을 쓰는 데 동의를 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시진픽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이번 회담은 리창 총리를 상대로 한 회담이어서 시 주석의 방한 문제를 거론하지 않았다”며 “다만 지난해 항저우 아시안게임 개막식 때 시 주석 본인이 갈 차례라고 말해 여건이 성숙되면 당연히 올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서 문 전 대통령은 퇴임 2주년을 맞아 출간한 회고록 <변방에서 중심으로>에서 윤 정부의 외교 정책을 비판했다. 9·19 남북군사합의 효력을 정지한 윤 정부의 조치에 "대단히 위험하고 무모하고, 어리석은 일"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 논란'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양길성 기자 vertig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