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연구팀 "40광년 밖 적색왜성 공전…표면온도 42℃ 추정-대기는 미확인"

지구에서 40광년 떨어진 물고기자리에 있는 차가운 적색 왜성(red dwarf) '글리제 12'(Gliese 12) 주위에서 지구보다 약간 작고 온도는 지구와 비슷해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점쳐지는 외계 행성(글리제 12b)이 발견됐다.

[사이테크+] "지구와 온도 비슷한 '외계 금성' 발견…생명 존재 가능성 주목"
영국 왕립천문학회(RAS)는 24일 호주·영국 연구팀과 일본·미국 연구팀 등 2개 연구진이 40광년 밖의 적색왜성 글리제 12를 12.8일에 한 바퀴씩 도는 외계행성 글리제 12b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행성은 크기가 금성과 비슷하고 표면 온도는 42℃로 지금까지 확인된 외계행성 5천여 개 중 가장 낮아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 왕립천문학회 월보(MNRAS)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이 행성은 현재까지 발견된 외계행성 중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편이고, 중심별 앞을 통과하며(transiting), 온화한 지구급 행성으로 '외계 금성'(exo-Venus)이라고 할만하다며 앞으로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의 주요 관측 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연구팀은 글리제 12b의 표면온도는 대기가 없다는 가정하에 추정한 것으로, 액체 상태 물과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환경인지 판단하기에는 시기상조라고 밝혔다.

글리제 12b에 지구와 비슷한 대기가 있을 수도 있고, 온실 효과로 인해 400℃의 지옥이 된 금성처럼 대기가 없거나 태양계에서는 볼 수 없는 다른 대기가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향후 JWST 관측 등을 통해 글리제 12b의 대기 상태를 확인하면 행성 표면이 액체 상태 물과 생명체 존재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지 밝혀내는 것은 물론 지구와 금성이 현재와 같이 다르게 진화한 이유에 대한 단서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사이테크+] "지구와 온도 비슷한 '외계 금성' 발견…생명 존재 가능성 주목"
글리제 12b의 중심별 글리제 12는 크기가 태양의 약 27%에 불과하고 표면온도는 태양의 60% 수준인 약 3천300℃로 추정된다.

하지만 중심별과 글리제 12b의 거리는 지구-태양 거리의 약 7%인 1천50만㎞ 정도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글리제 12b는 중심별로부터 지구가 태양으로부터 받는 에너지의 1.6배, 금성이 받는 에너지의 약 85%를 받는 것으로 추산된다.

연구팀은 글리제 12b가 받는 에너지의 양으로 볼 때 표면온도는 대기 조건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며 앞으로 대기 상태를 밝혀내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외계행성 글리제 12b가 특히 관심을 끄는 이유 중 하나는 중심별인 글리제 12가 우리은하에서 가장 흔한 별 중 하나인 차가운 적색 왜성이라는 점이다.

연구팀은 글리제 12 같은 차가운 적색 왜성 주위에 대기가 있고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온화한 행성이 존재할 수 있다며 향후 외계 생명체 탐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호주 서던 퀸즐랜드대 천체물리학센터 시시르 돌라키아 연구원(박사과정)은 "글리제 12b는 차가운 별을 도는 지구급 외계행성에 대기가 있을 수 있는지 연구할 수 있는 최적의 표적"이라며 "이는 우리은하 내 외계행성의 생명체 존재 가능성에 대한 이해 증진에 중요한 단계"라고 말했다.

◆ 출처 :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Shishir Dholakia and Larissa Palethorpe et al., 'Gliese 12 b, A Temperate Earth-sized Planet at 12 Parsecs Discovered with TESS and CHEOPS', http://dx.doi.org/10.1093/mnras/stae1152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