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임관 소위 서울대 5명, 고려대 28명, 연세대 34명.’ 대학 학생군사교육단(ROTC)을 통한 초급 군 간부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올해 전국 16개 주요 대학 ROTC 임관 장교가 역대 최저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ROTC 소위 임관 역대 최저…서울대 달랑 5명
24일 국방부에 따르면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한양대 등 전국 주요 16개 대학의 올해 학군단 임관 장교(62기)는 464명에 불과했다. 1961년 2643명(1기)과 비교하면 5분의 1 수준에도 못 미친다. 오랫동안 ROTC는 초급장교 양성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해왔다. 4년제 대학 학생이 3~4학년 학기에 군사훈련과 군사학 공부를 하고, 졸업 후 장교로 임관하는 제도다. 임관한 소위의 70%가 ROTC다.

하지만 인기가 시들해지면서 최근에는 육군 ROTC를 운영하는 대학의 절반은 후보생 정원조차 채우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육군 학군단을 운영하는 전국 108개 대학 가운데 후보생이 정원에 미달한 학교는 54곳으로 집계됐다.

사라진 혜택과 병사 관리의 어려움, 병사 처우 개선 등이 ROTC 급감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김의식 용인대 군사학과 교수는“책임은 늘었는데 봉급과 혜택이 그대로여서 후보생 기간에 이탈하는 사례도 많다”고 말했다.

ROTC는 과거 공공기관·대기업 채용 시 가산점이나 특별채용 등이 주어져 인기가 높았지만 기업들이 혜택을 점점 줄이면서 이점이 사라졌다. ROTC 출신 중위 홍모씨는 “장기 복무할 생각이 없다면 취업 준비와 진로 고민에 쓸 시간을 희생하는 것이 아깝다는 인식이 많다”고 전했다.

정희원/박시온 기자 toph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