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의 외국인 지분율이 4년여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시행 시기가 다가오는 데다 미·중 무역 갈등의 반사이익을 볼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어서다.

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기준 현대차 외국인 지분율은 40.85%로 2019년 12월 후 약 4년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외국인 지분율은 지난달 말 40%를 넘긴 뒤 꾸준히 올라가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 1월 금융당국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수혜주로 꼽히면서 외국인 지분율이 높아졌다. 연초 33.60%에서 전날 40.85%로 7.2%포인트가량 늘었다. 지난달 미국 국채 금리가 상승해 국내 증시가 휘청일 때도 외국인 지분율은 4월 1일 38.22%에서 4월 말 40.10%까지 증가했다.

이달 초 금융당국이 밸류업 프로그램 가이드라인 초안을 발표하면서 수혜주를 둘러싼 기대가 재차 커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최근 미국이 중국산 전기차의 관세율을 100%로 인상하면서 현대차가 반사이익을 누릴 것이라는 전망도 외국인의 ‘사자’ 흐름을 만들었다.

다른 밸류업 수혜주 역시 밸류업 프로그램 초안 발표 후 외국인 지분율이 높아지고 있다. 삼성물산은 지난달 말 외국인 지분율이 25.09%에서 전날 기준 26.30%로 1.2%포인트가량 증가했고, HD현대는 같은 기간 16.77%에서 17.08%로 소폭 상승했다. KB금융은 같은 기간 75.77%에서 76.70%, 우리금융지주는 42.03%에서 42.60%로 올랐다. 이경수 하나증권 연구원은 “밸류업 정책 발표 후 기업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 사례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