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사람의 인터내셔널
[신간] 초록의 어두운 부분
▲ 초록의 어두운 부분 = 조용미 지음.
'빛이 나뭇잎에 닿을 때 나뭇잎의 뒷면은 밝아지는 걸까 앞면이 밝아지는 만큼 더 어두워지는 걸까 // 깊은 어둠으로 가기까지의 그 수많은 초록의 계단들에 나는 늘 매혹당했다'
조용미 시인의 신작 시집 '초록의 어두운 부분'의 표제시 첫 부분이다.

갖가지 명도와 채도의 다양한 초록빛에 매혹된 시인은 이렇게 시를 이어간다.

'긴 의자 앞으로 초록의 거대한 상영관이 펼쳐졌다 초록의 음영과 농도는 첼로의 음계처럼 높아지고 다시 낮아졌다 // 녹색의 감정에는 왜 늘 검정이 섞여 있는 걸까'
시인은 흔히 자연의 강력한 생명력을 상징하는 숲의 어딘가를 통과하며 서로 다른 명도와 채도를 띤 무수한 초록을 찾아낸다.

한 덩어리로 보이는 각각의 존재에 개별적인 색깔을 부여하는 시인은 종국에는 녹색에 늘 검정이 섞여 있다는 깨달음에 다다른다.

시인은 또 '이 봄 초록의 성분은 왜 나의 고난보다 희미한가'(시 '초록의 성분')라고 묻거나, 낡은 초록색 의자에 앉아 '어제와 가까운 곳에서 피어나는 모든 식물들은 / 왜 그렇게 붉고 부드럽고 / 뜨거웠을까'(시 '초록색 의자')라고 궁금해 한다.

색을 통해 세상을 감각하는 시인. 그의 내면의 모호했던 감정들은 다채로운 색채를 경험하며 모호함을 털고 예리해지고 뚜렷해진다.

이 봄에 한창인 초록 외에도 노랗고, 붉고, 검고, 분홍빛 가득한 색채감이 매력적인 시집이다.

문학과지성사. 132쪽.
[신간] 초록의 어두운 부분
▲ 두 사람의 인터내셔널 = 김기태 지음.
"결석하지 않고 학교도 잘 다녔다.

법을 어긴 적도 없었다.

하루에 삼분의 일에서 이분의 일을 일터에서 성실히 보냈고 공과금도 기한 내에 냈다.

그럼 큰 걱정 없이 살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
김기태의 단편소설 '두 사람의 인터내셔널'의 두 청년, 권진주와 김니콜라이는 험난한 세상에서 '일인분'을 해내기 위해 분투했는데도 약자라는 이유로 더욱 야멸차게 다그치는 세상 앞에서 "우리가 그렇게 잘못 살았냐"고 항변한다.

유튜브 알고리즘을 통해 사회주의 혁명의 노래 '인터내셔널가'를 알게 된 이들은 함께 살 집으로 이사한 첫날, 짐을 정리하며 5시간에 가까운 분량의 95개국 인터내셔널가를 주구장창 듣는다.

하지만 강고한 자본이 지배하는 세상을 뒤엎고자 하는 변혁과 혁명의 열망 같은 건 이들에게 없다.

인류 역사상 수많은 이들의 피를 끓게 했던 인터내셔널가조차 이들에게는 그저 잠시 심심풀이로 소비하는 '밈'(인터넷 유행 콘텐츠)일 뿐이다.

2024년 젊은작가상을 받은 김 작가의 첫 소설집이다.

표제작 외에도 데이트 예능 프로그램에서 사람들의 눈에 들려고 온갖 우스운 미션을 수행하는 남녀들의 이야기인 '롤링 선더 러브' 등 다양한 인간군상의 평범하지 않은 이야기를 담은 9편의 단편이 수록됐다.

문학동네. 336쪽.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