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해녀 한 사람 한 사람의 삶'…생애사 보고서 발간
평생 제주 바다에서 물질을 한 제주해녀의 생애사 조사 보고서가 발간됐다.

제주도는 1940년대 전후부터 해산물 채취로 생계를 이어온 해녀의 생애사 조사보고서 ''좀(ㅈ+아래아+ㅁ)녀 아니 댕기믄 바당 엇어져 갈거'(해녀가 일을 나가지 않으면 바다밭이 사라져갈 거라)를 23일 발간했다.

제주해녀는 1970년대 1만4천여명에서 지난해 기준 2천839명으로 80% 정도 감소했다.

조사 보고서에는 해녀 개인에 대한 기본조사를 시작으로 유년 시절 물질의 시작, 결혼·출산과 물질, 바깥 물질생활, 해녀공동체와 바다 생태계, 해녀의 신앙 의례, 물질 생애의 회고와 앞날에 대한 의견 등이 담겼다.

추자도, 우도, 가파도 등 도서 지역 어촌계를 총망라한 도내 103개 어촌계 소속 해녀 103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했다.

보고서에 소개된 103명 해녀의 평균연령은 84세이며 그중 90세 이상이 9명, 최고령은 95세다.

일제강점기 일본과 남양군도에서 태어나 고향으로 귀국한 해녀 12명의 이야기도 담겼다.

제주해녀의 기록을 통해 8·15 광복, 제주 4·3, 한국전쟁으로 이어지는 대한민국의 격동기도 엿볼 수 있다.

구술자 선정에 있어서는 가급적 선행 자료에 소개되지 않은 해녀들을 우선해 기록했으며, 103명 해녀가 직접 물질하는 바다 밭 지명과 특징을 구술한 내용을 중심으로 기술해 해양수산 전통 지식을 담아내려 노력했다.

구술자 103명의 쉼터이자 작업장인 해녀탈의장의 내외부 사진도 부록에 실렸다.

특히 2014년 제주도에서 발간한 조사 보고서 '숨비질 베왕 놈(ㄴ+아래아+ㅁ)주지 아녀'(물질 배우면 다른 사람 주지 않아) 이후 10년 만에 같은 직업군의 생애사를 자료화한 대규모 조사보고서라는 의미를 지닌다.

정재철 제주도 해양수산국장은 "고령 해녀들의 삶의 기록을 통해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제주해녀 문화가 미래 세대에게도 이어지길 기대한다"며 "국내외 유산 등재 4관왕을 달성한 제주해녀 문화를 전승·보전할 수 있도록 다각도로 노력을 기울여나가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