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한 사랑노래' '농무' 신경림 시인 별세
“가난하다고 해서 사랑을 모르겠는가/ 내 볼에 와 닿던 네 입술의 뜨거움/ 사랑한다고 사랑한다고 속삭이던 네 숨결”(‘가난한 사랑노래’ 중)

한국인의 애송시 중 하나인 ‘가난한 사랑노래’ 등을 쓴 문학계 거목 신경림 시인이 암 투병 끝에 22일 별세했다. 향년 88세. 고인은 1936년 충북 충주에서 태어나 충주고와 동국대 영문과를 졸업했다. 동국대 2학년에 재학 중이던 1956년 ‘문학예술’에 시 ‘갈대’를 발표하면서 문단에 데뷔했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것,/ 갈대는 저를 흔드는 것이 제 조용한 울음인 것을/ 까맣게 몰랐다./ 산다는 것은 속으로 이렇게/ 조용히 울고 있는 것이란 것을/ 그는 몰랐다.”(<갈대> 중)

▶▶▶[관련 칼럼] 세상 떠난 신경림 시인의 ‘가난한 사랑 노래’ [고두현의 아침 시편]

등단 후 10여 년간 시를 쓰지 않고 고향 충주로 낙향해 농사일부터 공사장 인부, 장사, 학원 강사 등 갖은 일을 했다. 이때 경험은 고인이 가난하고 소외된 자들의 삶을 시에 담아내는 데 자양분이 됐다. 1971년 발표한 시 ‘농무’는 농촌 현실과 농민의 삶, 핍박받는 민중의 애환 등을 노래했다. 그는 이 시에서 ‘비료값도 안 나오는 농사 따위’를 잊고 ‘분이 얼룩진 얼굴로 학교 앞 소줏집에 몰려 술을 마’시고, 풍물놀이에 맞춰 ‘고갯짓을 하고 어깨를 흔들거’리는 농민의 삶을 사실적으로 형상화했다. 질박한 생활 언어로 현실을 노래한 민중적 서정시인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생전에 만해문학상, 대산문학상, 호암상 등을 받았으며 2001년 은관문화훈장을 수훈했다. 고인의 장례는 주요 문인단체들이 함께하는 대한민국 문인장으로 치러질 예정이다.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