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래틀리 수비·미스치프·피어리 크로스 암초 대상…필리핀·베트남 반발 예상
中, 남중국해 인공섬 3곳에 대형해저터널 만들듯…새 분쟁 씨앗?
중국이 이미 군사 요새화한 남중국해 인공섬 3곳에 대형 미사일과 장갑차 배치 등 용도로 대형 해저터널 건설을 추진할 움직임을 보여 주목된다.

2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해양대학교 연구팀이 남중국해 인공섬에 대형 해저 터널 건설이 가능한 공법 개발에 성공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중국 당국이 조만간 공사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SCMP는 산호초 기반 인공섬이 지지력이 부족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인공섬에 수직 파이프를 대거 박고 시멘트 등이 포함된 혼합물을 쏟아부어 바탕을 단단히 한 뒤 해저 터널을 만드는 공법을 중국 해양대학교 연구팀이 개발했다고 전했다.

남중국해 영유권을 주장하면서 2014년 남중국해 스프래틀리 군도(중국명 난사군도<南沙群島>·베트남명 쯔엉사군도) 산호초 기반 암초 7곳에 인공섬을 만든 뒤 군사 시설로 활용해온 중국이 이젠 대형 해저터널까지 건설해 무력을 강화하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들 인공섬 가운데 수비 암초(주비자오<渚碧礁>), 미스치프 암초(중국명 메이지자오<美濟礁>), 수비 암초, 피어리 크로스 암초(융수자오<永暑礁>) 등 3곳이 대형 해저터널 공사 대상이라고 SCMP는 전했다.

中, 남중국해 인공섬 3곳에 대형해저터널 만들듯…새 분쟁 씨앗?
중국이 인공섬 7곳에 비행장과 미사일 발사대, 항공기 격납고, 레이더 시스템 등을 포함한 군사 시설을 집중시키는 등 남중국해 확장 전략을 펴온 가운데 공간 부족 현상이 생기자 확장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인공섬을 추가로 건설할 경우 필리핀·베트남 등이 강하게 반발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중국이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이 거세지는 걸 피하면서 기존 인공섬에 대형 해저터널을 건설해 그 공간에 대형 미사일과 장갑차 등을 추가 배치하려는 심산이라는 것이다.

수비·미스치프·피어리 크로스 암초에 대해선 필리핀·베트남·대만도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으나 중국은 이에 아랑곳하지 않은 채 인공섬 건설에 이어 대형 해저터널까지 건설함으로써 무력 지배력을 강화하려는 모양새다.

남중국해에 U자 형태로 9개 선(구단선)을 긋고 이 안의 약 90%에 대해 영유권을 주장해온 중국은 2016년 국제상설중재재판소(PCA)가 국제법상 근거가 없다는 판결을 했음에도 거침없는 남중국해 확장 전략을 펼쳐오고 있다.

필리핀·베트남 등은 중국이 대형 해저터널까지 갖춰 무력 배치를 증강하는 방법으로 공격 능력을 확장해 남중국해를 사실상 제압하려는 의도로 본다.

中, 남중국해 인공섬 3곳에 대형해저터널 만들듯…새 분쟁 씨앗?
이런 가운데 중국은 최근 몇개월째 스프래틀리 군도의 세컨드 토머스 암초(중국명 런아이자오·필리핀명 아융인)에서 필리핀과 충돌을 거듭하고 있다.

필리핀이 1999년 해당 암초에 좌초한 자국 군함을 지킨다는 명분으로 해병대원을 상주시키고 물자를 보급해온 걸 문제 삼은 중국이 필리핀 보급선을 물대포 발사와 선박 충돌 등으로 차단하면서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친중 인사인 로드리고 두테르테 전 대통령 시절에는 중국과 마찰이 거의 없었으나, 2022년 6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집권 이후 분쟁이 본격화했다.

필리핀은 근래 중국이 스프래틀리 군도의 사비나 암초(필리핀명 에스코다 암초)에 인공섬을 건설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해경선 등을 동원해 순찰을 강화해왔다.

사비나 암초는 필리핀 서부 팔라완섬에서 서북쪽으로 약 200㎞ 떨어져 있다.

이곳은 필리핀과 중국의 최대 분쟁 해역인 세컨드 토머스 암초에 있는 필리핀군 병력에 물자를 보급하는 필리핀 선박들의 집결지이기도 하다
중국이 인공섬 대형 해저터널 공사를 본격화할 경우 미국의 대응 여부도 주목된다.

미국은 올해 필리핀과의 연례 '발리카탄' 군사훈련을 필리핀의 영해 밖인 남중국해에서 실시함으로써 중국의 일방적인 남중국해 영유권 주장 행보를 견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中, 남중국해 인공섬 3곳에 대형해저터널 만들듯…새 분쟁 씨앗?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