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숙 여사가 지난 2018년 11월 인도의 우타르프라데시주 아그라 타지마할을 방문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정숙 여사가 지난 2018년 11월 인도의 우타르프라데시주 아그라 타지마할을 방문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퇴임 후 잊히고 싶다"던 문재인 전 대통령이 2년 만에 회고록을 내놓으며 정치권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문 전 대통령은 '변방에서 중심으로'라는 회고록을 통해 민감한 외교·안보 이슈는 물론 부인인 김정숙 여사가 2018년 인도 타지마할을 방문한 것과 관련 "인도 측이 김정숙 여사를 먼저 초청했다"며 "(대통령 영부인의) 첫 단독 외교"라고 주장했다. 혈세 낭비라는 지적에는 "지금까지도 아내가 나랏돈으로 관광 여행을 한 것처럼 악의적으로 왜곡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불편한 기색을 숨기지 않았다.

여권의 반박이 바로 나왔다. 배현진 국민의힘 의원은 21일 "문 전 대통령이 까마득하게 잊었던 아내의 국고 손실과 직권 남용에 대한 주범 공범 관계를 자백한 꼴"이라고 비판했다.

여권 한 인사는 중앙일보에 "움츠리던 정부와 여당을 참호에서 뛰쳐나오게 한 1등 공신이 바로 문 전 대통령"이라고 꼬집었다. 한 친명계 인사는 "한창 포위 공격 중인 아군 진영에 찬물을 끼얹은 격이다. 무엇보다 시기가 너무 좋지 않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 초선 당선인은 "사면초가였던 정부·여당에 돌파구를 열어 준 게 아닌지 걱정된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민주당 의원들이 말은 안 하지만 문 전 대통령의 이런 행보를 달갑게 여기지 않고 있다는 분석도 내놨다.

이 와중에 진성준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여권의 공세를 "'김건희 물타기'에 불과한 생트집"이라고 반박하면서 영국 엘리자베스 여왕에 빗대 빈축을 샀다.

진 의장은 "우리나라의 정상급 인사가 인도 타지마할을 방문한 것은 (영국) 엘리자베스 여왕이 한국을 방문해서 안동을 방문한 것과 유사한 외교 일정이라고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지원 민주당 당선인은 문 전 대통령이 "영부인의 첫 단독외료"에 대해 "(김정숙 여사가) 처음이 아니다"라며 김대중 전 대통령의 영부인 이희호 여사의 외교 사례를 들었다.

이 여사는 2002년 5월 8일 미국 뉴욕의 유엔본부에서 열린 아동특별총회 본회의에서 기조연설을 했다. 당시 이 여사의 기조연설은 김대중 대통령의 외교 행사 동석이 아닌 정부 대표단 수석 대표 자격으로 단독으로 유엔에 가서 한 활동이었다.

당시 이 여사는 대통령 전용기를 이용했던 김 여사와 달리 민항기를 이용한 바 있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