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협-알라딘, 전자책 유출 보상 합의…"위로금 액수는 비밀"
인터넷 서점 알라딘이 지난해 5월 전자책 72만 권 유출 사태와 관련해 보상 및 재발 방지를 위한 기금 출연을 약속했다.

대한출판문화협회(출협)는 지난 20일 서울 사간동 출협 대강당에서 알라딘 전자책 유출 피해 출판사를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었다. 이날 설명회에 참석한 최우경 알라딘 커뮤니케이션 대표는 "사과와 쇄신의 말씀을 드린다"며 "최고 전문가를 영입해 시스템의 최신성과 안정성을 우선으로 하는 체계를 마련했으며, 전자책서점협의회를 통해 모니터링 등 재발 방지 활동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알라딘은 지난해 5월 한 고교생에 의해 해킹당해 전자책 72만 권이 유출됐으며, 이 가운데 5000권이 텔레그램에 유포된 바 있다. 출협은 지난해 7월부터 보안업체 및 전문가를 포함한 '알라딘 전자책 유출 피해 및 전자책 보안 실태 조사단'을 꾸려 조사를 진행했다.

실태 조사단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번 사태의 원인은 전자책 뷰어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서 복호화키를 암호화하는 '시큐어 코딩'과 전자책 다운로드 시 사용자 검증 코드 등이 부재했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단은 교보문고와 리디북스, 예스24 등도 같은 사례라고 설명했다.

알라딘은 각 출판사에 위로금 형태의 보상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보상액의 구체적인 규모는 밝히지 않았다. '알라딘 전자책 유출 피해 보상 및 재발 방지 대책위원회'는 위로금 수령에 대한 동의 여부 등 최종 판단은 출판사가 하되, 반드시 저작자와 협의해 결정할 것을 강조했다.

대책위는 재발 방지를 위해 △유통사와 출판사 간 비균형적인 계약이나 거래 관행을 개선하고 △유통사 보안상태의 정기 점검 방안을 마련하며 △전자책 유출 시 징벌적 보상제도를 도입할 것 등을 요구했다. 이어 유출이 발생할 경우 출판사에 즉시 보고를 의무화하고, 고의적으로 이를 은폐할 경우 페널티를 주는 방안 등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출판계 저작권 보호 활동을 위해 알라딘으로부터 2억원 출연을 약속받았다고 밝혔다. 전자책 보안 실태조사 및 출판계 독자적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비용 등으로 사용하자는 의견을 제시했다.

윤철호 출협 회장은 "비슷한 사고가 재발하지 않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유통사와 힘을 합해 더 좋은 출판 생태계를 함께 만들겠다"고 말했다.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