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레이더] "올해 마늘 농사 망했다"…타들어 가는 농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 재난지원금·채소가격안정자금 지원 결정
농가, 벌마늘 전량 상품 가격 수매 등 특단 대책 요구 "올해 마늘 농사는 망했습니다.
평년에 상품 70%, 중품 20∼25%, 하품 5% 정도였는데 올해는 상품이 20∼30%도 안 되고 하품 비중이 아주 높아 대부분 농가가 생산비도 건지지 못할 겁니다.
"
박태환 제주마늘생산자협회 회장은 20일 연합뉴스 인터뷰에서 "제주의 마늘 작황을 볼 때 더 이상 마늘 농사를 지을 농가들이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경남 남해 최윤신 씨 역시 "마늘 농사만 40년 지었는데 올해처럼 피해가 심각한 경우는 처음"이라며 "우리는 80% 이상 피해를 봤고 다른 농가도 사정이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한숨 쉬었다.
지난 2∼3월 고온과 잦은 비로 제주와 전남, 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사상 최악의 벌마늘 피해가 발생했다.
벌마늘이란 마늘이 2차 생장을 하면서 줄기가 여러 개로 쪼개져 통상 6∼9개인 마늘쪽이 12개 이상으로 나뉜 것을 말한다.
벌마늘은 깐마늘용으로 쓸 수 없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다진마늘 형태로 이용하거나 폐기해야 한다.
벌마늘 피해가 가장 큰 곳은 제주지역이다.
제주도가 지난달 30일부터 지난 1일까지 2차 표본조사 결과, 전체 마늘 재배면적 1천88㏊의 57.8%에서 벌마늘 피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는 13일까지 벌마늘 피해 신고를 받고 나서 20일까지 현장 확인 작업을 완료할 예정이다.
같은 시기 전남 지역에서는 전체 마늘 재배 면적 3천443ha 중 20%에서 벌마늘 피해가 확인됐다.
경남 지역의 벌마늘 피해 규모는 206㏊(남해 200㏊, 하동 6㏊)로 파악됐다.
경북의 의성, 고령, 영천 등지에서는 3∼4% 정도의 벌마늘 피해가 집계되고 있다.
경북도는 현재 벌마늘 발생 정도로는 생산량에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으나 동향을 계속 살펴 벌마늘 발생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판단되면 채소류 생산안정지원 사업비와 예비비를 투입할 방침이다.
제주, 전남, 경남 등을 제외하고 다른 지역에서는 현재까지 벌마늘 피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제주와 전남, 경남 벌마늘 피해를 재해로 인정했다.
재해 인정에 따른 정부의 재난지원금은 ha당 농약대 250만원과 대파대 550만원으로, 농가는 둘 중 한 가지를 선택해 받을 수 있다.
제주의 모든 농가는 농약대를 선택했다.
대파대는 마늘밭을 갈아엎고 다른 작물을 다시 심을 경우에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수확기인 점을 고려한 농가의 어쩔 수 없는 선택이다.
제주에서는 추가로 채소가격안정제 자금을 활용하는 지원 방안이 확정됐다.
주산지 농협이 올해 조성된 마늘채소가격안정제 자금 49억7천만원으로 계약 농가에서 발생한 벌마늘 2천70t을 ㎏당 2천400원에 수매하기로 한 것이다.
다만 농가에 실제로 지급되는 단가는 1천920원이다.
수매가격과 실제 농가 지급 단가가 다른 것은 농가가 내야 할 채소가격안정제 부담금을 농협이 대신 냈기 때문에 그 부분을 차감하는 것이다.
채소가격안정제 자금은 정부 30%, 지방자치단체 30%, 농협경제지주 10%, 주산지 농협 10%, 농가 20%로 구성된다.
전남과 경남 지역에서는 아직 수확 작업이 이뤄지기 전이어서 재난지원금 외 다른 지원 방안이 정해지지는 않았다.
지방자치단체들은 수확이 끝나고 전체적인 작황과 수매 상황, 가격 형성 등을 지켜보며 추가 지원 방안 등을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채소가격안정자금과 재난지원금 지원 등에도 불구하고 농가 피해는 복구하기 힘든 상황이다.
전례 없는 대규모 벌마늘 피해로 전체적인 생산량이 감소해 생산비를 건지기도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농가들은 벌마늘 전량 상품 가격 수매 등 특단의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김호천 박정헌 전승현 이승형 임채두 전창해 이해용 허광무 기자)
/연합뉴스
농가, 벌마늘 전량 상품 가격 수매 등 특단 대책 요구 "올해 마늘 농사는 망했습니다.
평년에 상품 70%, 중품 20∼25%, 하품 5% 정도였는데 올해는 상품이 20∼30%도 안 되고 하품 비중이 아주 높아 대부분 농가가 생산비도 건지지 못할 겁니다.
"
박태환 제주마늘생산자협회 회장은 20일 연합뉴스 인터뷰에서 "제주의 마늘 작황을 볼 때 더 이상 마늘 농사를 지을 농가들이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경남 남해 최윤신 씨 역시 "마늘 농사만 40년 지었는데 올해처럼 피해가 심각한 경우는 처음"이라며 "우리는 80% 이상 피해를 봤고 다른 농가도 사정이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한숨 쉬었다.
지난 2∼3월 고온과 잦은 비로 제주와 전남, 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사상 최악의 벌마늘 피해가 발생했다.
벌마늘이란 마늘이 2차 생장을 하면서 줄기가 여러 개로 쪼개져 통상 6∼9개인 마늘쪽이 12개 이상으로 나뉜 것을 말한다.
벌마늘은 깐마늘용으로 쓸 수 없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다진마늘 형태로 이용하거나 폐기해야 한다.
벌마늘 피해가 가장 큰 곳은 제주지역이다.
제주도가 지난달 30일부터 지난 1일까지 2차 표본조사 결과, 전체 마늘 재배면적 1천88㏊의 57.8%에서 벌마늘 피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는 13일까지 벌마늘 피해 신고를 받고 나서 20일까지 현장 확인 작업을 완료할 예정이다.
같은 시기 전남 지역에서는 전체 마늘 재배 면적 3천443ha 중 20%에서 벌마늘 피해가 확인됐다.
경남 지역의 벌마늘 피해 규모는 206㏊(남해 200㏊, 하동 6㏊)로 파악됐다.
경북의 의성, 고령, 영천 등지에서는 3∼4% 정도의 벌마늘 피해가 집계되고 있다.
경북도는 현재 벌마늘 발생 정도로는 생산량에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으나 동향을 계속 살펴 벌마늘 발생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판단되면 채소류 생산안정지원 사업비와 예비비를 투입할 방침이다.
제주, 전남, 경남 등을 제외하고 다른 지역에서는 현재까지 벌마늘 피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제주와 전남, 경남 벌마늘 피해를 재해로 인정했다.
재해 인정에 따른 정부의 재난지원금은 ha당 농약대 250만원과 대파대 550만원으로, 농가는 둘 중 한 가지를 선택해 받을 수 있다.
제주의 모든 농가는 농약대를 선택했다.
대파대는 마늘밭을 갈아엎고 다른 작물을 다시 심을 경우에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수확기인 점을 고려한 농가의 어쩔 수 없는 선택이다.
제주에서는 추가로 채소가격안정제 자금을 활용하는 지원 방안이 확정됐다.
주산지 농협이 올해 조성된 마늘채소가격안정제 자금 49억7천만원으로 계약 농가에서 발생한 벌마늘 2천70t을 ㎏당 2천400원에 수매하기로 한 것이다.
다만 농가에 실제로 지급되는 단가는 1천920원이다.
수매가격과 실제 농가 지급 단가가 다른 것은 농가가 내야 할 채소가격안정제 부담금을 농협이 대신 냈기 때문에 그 부분을 차감하는 것이다.
채소가격안정제 자금은 정부 30%, 지방자치단체 30%, 농협경제지주 10%, 주산지 농협 10%, 농가 20%로 구성된다.
전남과 경남 지역에서는 아직 수확 작업이 이뤄지기 전이어서 재난지원금 외 다른 지원 방안이 정해지지는 않았다.
지방자치단체들은 수확이 끝나고 전체적인 작황과 수매 상황, 가격 형성 등을 지켜보며 추가 지원 방안 등을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채소가격안정자금과 재난지원금 지원 등에도 불구하고 농가 피해는 복구하기 힘든 상황이다.
전례 없는 대규모 벌마늘 피해로 전체적인 생산량이 감소해 생산비를 건지기도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농가들은 벌마늘 전량 상품 가격 수매 등 특단의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김호천 박정헌 전승현 이승형 임채두 전창해 이해용 허광무 기자)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