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행진 이어 거리 곳곳 공연 무대…"전야제서 5·18 느껴져"
'44년 전 그날처럼' 5·18 항쟁지 금남로서 대동정신 재현
"5·18 전야제에 처음 와 봤는데 주체할 수 없는 감정과 벅차오르는 무언가가 느껴져요.

"
제44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을 하루 앞둔 17일 오후 전야제가 열리는 광주 동구 금남로 일대는 5·18 정신을 기리는 시민들의 외침으로 가득했다.

1980년 5월 민주화를 열망하며 이곳에서 항쟁을 벌였던 오월 영령의 모습을 고스란히 재현했고, 풍물단·시민 악사의 연주에 발맞춰 민주평화 대행진을 시작했다.

대형 태극기와 '5·18 왜곡 근절'이라는 문구가 새겨진 깃발을 연신 흔들던 행진 참가자 3천여명은 광주 북동성당에서 금남로까지 1㎞ 구간을 걸으며 민주화를 외쳤다.

주먹을 쥔 손을 머리 위로 올렸다가 힘차게 내리며 '님을 위한 행진곡'을 불렀고, 44년 전 그날처럼 도심 곳곳을 누비며 행진했다.

대지가 진동하듯 퍼진 이 울림에 인근 상가 상인들도 도로변으로 나와 행렬을 맞이했고, 지친 기색의 참가자에게 생수를 건네며 대동 정신을 재현했다.

주요 무대가 1개였던 예년과는 다르게 올해는 각기 다른 주제(인권·민주·오월)의 3개 무대가 설치되면서 동시다발적인 공연이 펼쳐졌다.

공연에서 학생 시민군 역할을 맡은 남성들은 교복 차림으로 '민주화 투쟁'을 연신 외치며 전야제 분위기를 북돋웠다.

'모두의 오월, 하나 되는 오월'이라는 5·18 민중항쟁행사위원회(행사위)의 구호에 걸맞게 이날 전야제는 다양한 단체가 함께했다.

해마다 참석하는 세월호·이태원 참사 유가족을 위한 별도 무대가 설치됐는데, 오월어머니집 회원들이 다가가 이들을 다독이며 가족 잃은 아픔을 위로했다.

민주화를 위한 투쟁이 한창인 미얀마 민족 통합정부도 동참했다.

미얀마 진 마 아웅 외교부 장관은 "전야제에 참석한 것만으로도 광주의 정신이 느껴진다"며 "군부 정권과 다투는 미얀마에도 민주화 바람이 불어 이를 기념하는 행사가 열리기를 소망한다"고 말했다.

'44년 전 그날처럼' 5·18 항쟁지 금남로서 대동정신 재현
무대마다 각기 다른 공연이 열리는 몰입형 방식의 전야제가 막바지에 다다르자 시민들의 추모 열기는 더욱 고조됐다.

시민들이 결집한 인파 사이를 가로지르며 공연이 펼쳐졌고, 시민들은 공연단을 향해 환호성을 올렸다.

초등학생 자녀와 온 최모(41) 씨는 "태어나기 전에 일어나 그동안 5·18에 대해 잘 알지 못했다"며 "전야제에 와보니 주체할 수 없는 감정과 벅차오르는 무언가가 느껴진다"고 울먹였다.

먼발치서 무대를 바라보던 황모(66) 씨도 "5·18 당시 항쟁에 함께 하지 못했다는 미안함이 남아있다"며 "전야제에 참석하는 것으로나마 희생자들을 위로하고 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