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러 수출용 "낭설" 부인하며 대남용 강조…"군사기술력 어디에도 수출안해"
김여정 "우리 무기 사명은 한 가지…서울이 허튼 궁리 못 하게(종합)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최근 북한이 개발 중인 각종 무기체계는 러시아 수출용이 아니라 대남용이라고 주장했다.

김 부부장은 17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보도된 담화에서 "적대세력들이 우리가 생산하는 무기체계들이 '대 러시아 수출용'이라는 낭설로 여론을 어지럽히고 있는 데 대해서는 한번 짚고 넘어가고자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북러간 무기거래설이 "가장 황당한 억설"이라는 기존 입장을 반복하며 "우리는 우리의 군사기술력을 그 어디에도 수출 또는 공개할 의향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에 우리가 공개한 방사포들과 미사일 등의 전술무기들은 오직 한 가지 사명을 위하여 빚어진 것"이라며 "서울이 허튼 궁리를 하지 못하게 만드는 데 쓰이게 된다는 것을 숨기지 않는다"고 밝혔다.

김 부부장은 자신들에게 현재 가장 급선무는 "광고나 수출이 아니라 군대의 전쟁준비, 전쟁억제력을 더 완벽하게 질량적으로 다지며 적이 군사력에서의 열세를 극복할 수 없게 만드는 것"이라고도 강조했다.

이어 "적대세력들이 우리 국가를 상대로 한 음험한 정치적 기도를 노골화하는 데 정비례하여 우리는 필요한 활동들을 더 활발히 진행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김인애 통일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김 부부장 담화에 관해 "러시아와 북한 간 무기 거래가 백일하에 드러났음에도 북한이 부인하고 있는데 이는 북한 스스로도 (러시아와 무기 거래가) 불법적인 행위라는 것을 알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하고, 러시아와 불법적 무기 거래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김정은 위원장은 이달 들어 연일 군수 부문을 현지지도하며 무기체계 개발 현황을 챙기고 있다.

지난 10일에는 240㎜ 방사포 무기체계를 파악하고 유도 기능을 갖춘 방사포탄의 시험사격을 참관했으며, 11∼12일에는 제2경제위원회 산하 중요 국방공업기업소들을 현지지도하면서 방사포를 싣는 차량을 직접 시운전하고 새로 개발한 저격 무기를 직접 시험 사격했다.

이어 14일에는 전술미사일 무기체계 생산 현황을 점검했다.

김 위원장의 행보는 북한의 군사적 필요뿐 아니라 러시아 수출 가능성 등도 염두에 두고 무기 양산·공급능력을 알리려는 의도가 깔린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김여정 "우리 무기 사명은 한 가지…서울이 허튼 궁리 못 하게(종합)
한편 정보당국은 이달 11∼12일 김 위원장이 찾은 방사포 생산 공장이 남북 합작으로 북한에 설립된 평화자동차를 군수공장으로 개조한 시설이라는 미국 전문가의 주장에 개연성이 있다고 보고 분석 중이다.

통일교재단은 2000년 북측과 합작해 남포에 평화자동차 공장을 설립했으나 2013년 운영권을 북측에 넘겼다.

제프리 루이스 미들버리 국제학연구소 동아시아비확산프로그램 소장은 지난 14일 소셜미디어 엑스(X) 계정을 통해 김 위원장이 방사포 수송차량을 시운전한 '국방공업기업소'가 평화자동차 공장이라고 주장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