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오송 참사 예방…홍수예보, 지자체 부단체장에 '직보'
여름 홍수 대책 발표…"인명피해 없도록 사각지대 제거"
7월부터 홍수경보·댐 방류지 지날 때 내비로 '경고'
7월부터 홍수경보가 발령된 곳이나 방류 중인 댐 주변으로 차가 진입하면 지하차도 등 위험한 길을 피할 수 있게 내비게이션을 통해 안내가 이뤄진다.

환경부는 16일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올여름 홍수 대책을 발표했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브리핑에서 "올여름 집중호우로 인명피해가 없도록 홍수 대응 사각지대를 없애겠다"라고 약속했다.

재작년과 작년 전국적으로 큰 수해가 발생했고 이에 맞춰 정부도 홍수예보지점 확대나 관리가 부실한 지방하천의 국가하천 승격 등 대책을 내놓고 시행한 터라 올여름에도 홍수로 인명피해가 발생하면 책임을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번 홍수 대책엔 7월부터 홍수경보 발령지점 반경 1.5㎞ 안쪽이나 댐 방류지점 근처에 차량이 진입하면 내비게이션을 통해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방안이 담겼다.

지하차도나 저지대 등 침수위험이 있는 곳을 피해 운행하도록 유도해 '제2의 오송 지하차도 참사'를 방지하겠다는 것이다.

홍수경보 발령지점과 댐 방류지점 안내는 티맵·카카오·네이버 등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과 차량용 내비게이션 대부분에서 이뤄질 예정이다.

다만 내비게이션이 우회로를 안내해주지는 않아 운전자 스스로 경로에 신경 써 지하차도나 저지대를 피해야 한다.

홍수주의보·경보 알림 문자에는 '현재 침수우려지역에 있는지'와 '침수우려지역 지도'가 포함된다.

침수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서 신속히 벗어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에는 문자에 수위 정보만 제공됐다.

홍수예보지점은 기존 '대하천 중심 75곳'에서 '지류와 지천을 포함해 223곳'으로 대폭 확대됐다.

약 3배로 늘어난 지점에 홍수예보를 하기 위해 인공지능(AI)이 활용된다.

작년 서울 도림천을 대상으로 실시된 도시침수예보는 올해 광주 황룡강과 경북 포항시 냉천, 창원시 창원천에서도 실시된다.

지방자치단체 등 관계기관에 '보이스 메시지시스템'(VMS)과 재난안전통신망을 통해 홍수예보를 전달하는 체계도 운영된다.

홍수예보 발령 시 VMS로 지자체 부단체장에게 직접 통보, 수신을 확인받아 신속하고 책임 있는 대응이 이뤄지도록 한다는 것이 환경부 구상이다.

작년 12월까지 국가하천 전 구간(3천602㎞)에 0.5~1㎞ 간격으로 총 8천대 폐쇄회로(CC)TV가 설치됐는데, 7월부터 지자체도 이 CCTV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개선된다.

모두 홍수 발생 시 지자체의 현장 대응력을 강화하는 방안이다.

환경부 내에는 홍수 대응 컨트롤타워인 '물재해종합상황실'이 운영된다.

환경부는 홍수기(6월 21일부터 9월 20일까지)가 시작하기 전까지 전국 20개 다목적댐에 61억4천만t의 홍수조절용량을 확보해두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집중호우로 물이 월류했던 충북 괴산댐은 올해부터 홍수기제한수위를 3m 낮춰 운영한다.

홍수기제한수위는 홍수조절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설정한 수위로 홍수기에 홍수가 유입되지 않은 상황에선 댐이 유지해야 하는 최고수위가 된다.

환경부는 제방 등 하천시설과 하천을 점용하고 진행되는 공사 현장 일제 점검 시 확인된 문제점은 홍수기 전 보완·보강하기로 했다.

하천공사 현장을 비롯해 홍수에 취약한 구간은 홍수취약지구로 추가로 지정해 관리해고 하천 합류부 등의 수목 제거와 퇴적토 준설도 홍수기 전 완료할 계획이다.

임진강과 북한강 등 남북 공유하천에 대해서는 북한이 상류의 댐에서 예고 없이 방류하는 상황에 대비해 위성영상을 활용한 모니터링이 실시한다.

기상청이 지난달 발표한 3개월 전망에는 6월은 강수량이 평년과 비슷할 확률이 50%, 많을 확률이 30%, 적을 확률이 20%로 제시됐다.

7월은 강수량이 평년과 비슷할 확률과 많을 확률이 각각 40%였고 적을 확률이 20%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