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무성 중국담당 부상 담화 "청탁과 구걸외교"
북, 조태열 방중에 민감 반응…"中건설적 역할 운운, 후안무치"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최근 중국을 방문해 한반도 문제에 대한 역할을 당부하자 북한이 "청탁과 구걸외교"라며 강하게 견제하고 나섰다.

북한 외무성에서 중국을 담당하는 박명호 부상은 16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담화에서 "우리 국가의 존위와 위상에 먹칠을 해보려고 불손하게 놀아댄데 대해 그저 스쳐지날 수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부상은 "미국 주도의 반중국 군사동맹권에 솔선 두발을 잠그고 나선 하수인의 신분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에 찾아가 그 무슨 '건설적인 역할'에 대해 운운한 것은 대한민국의 후안무치함과 철면피성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비난했다.

조 장관이 한중관계와 한미관계 등 대외관계를 '제로섬'으로 인식하지 않는다며 대중국 협력 용의를 밝힌 데 대해서도 "미국이라는 전쟁마부가 미친듯이 몰아대는 '신냉전' 마차에 사지가 꽁꽁 묶여있는 처지에 과연 수족을 스스로 풀고 뛰어내릴 용기나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번 방중이 "조선반도 정세불안정의 악성근원과 주된 병집인 미국과 그에 추종하는 한국이 있는 한 지역의 정세는 언제 가도 안정을 회복할 수 없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줬다"고 강변했다.

박 부상은 "한국 외교관들이 20세기 케케묵은 정객들의 외교방식인 청탁과 구걸외교로 아무리 그 누구에게 건설적 역할을 주문한다고 해도 우리는 자기의 생명과도 같은 주권적 권리를 절대로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 장관은 한국 외교장관으로는 6년 반 만에 지난 13∼14일 중국 베이징을 방문,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회담했다.

미중 전략경쟁 구도 등 지정학적 어려움 속에서도 한중 양국이 북한 문제 등을 둘러싼 협력 모멘텀을 만들어낼 수 있을지 관심을 끈 회담이었다.

조 장관 귀국 이틀 만에 나온 이번 담화는 한중이 관계를 회복하면서 북한 문제를 놓고 협력을 모색할 가능성에 강하게 경계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한국은 미국 주도의 반중국 군사동맹 '하수인'이며 신냉전에 '사지가 꽁꽁 묶여있다'고 표현한 것 등은 중국이 한국 쪽으로 다가서지 않도록 하려는 견제성 언사로 풀이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