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노동당 간부학교에 마르크스·레닌 대형 초상화 걸려 눈길
북한이 심혈을 기울여 신축한 노동당 중앙간부학교 건물 외벽에 사회주의 이론의 근간을 세운 사상가 카를 마르크스와 블라디미르 레닌의 대형 초상화가 등장했다.

16일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김 위원장의 전날 노동당 중앙간부학교 완공 현장 방문 사진을 보면 '조선노동당건설연구소' 건물 외벽 양쪽에 마르크스와 레닌의 대형 초상화가 설치돼 있다.

노동당 휘장이 건물 중앙에 위치하고, 그 위에는 '위대한 김일성-김정일주의로 철저히 무장하자!'라는 문구가 가로로 길게 적혀 있다.

북한이 당 간부를 양성하고 재교육하는 최고 교육기관인 노동당 중앙간부학교에서 마르크스와 레닌을 부각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이례적이어서 눈길을 끈다.

북한 사회주의 체제의 사상적 기원이 마르크스-레닌주의에 있다고는 하지만, 북한은 김일성-김정일-김정은으로 이어지는 3대 세습 체제를 확립하고 최고지도자를 우상화하는 과정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에 비판적으로 접근해 왔기 때문이다.

북한은 1980년 노동당 규약 개정, 1992년 헌법 개정 등을 통해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지도사상에서 삭제했으며 김일성의 주체사상이 그 자리를 대신했다.

김정일은 1990년 당 책임일꾼들을 상대로 한 연설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역사적 공적은 인정하지만 그것을 노동계급의 완성된 공산주의 혁명 이론으로는 보지 않는다"며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제한성을 알아야 수령님(김일성)의 혁명사상, 주체사상의 독창성과 우월성을 똑똑히 인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노동당의 역사와 이론적 기반을 설명할 때 마르크스·레닌을 빼놓고는 설명이 되지 않는 만큼 엘리트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 과정에서 이들의 이론이 일부 다뤄지기는 하지만, '자본론' 등 원전에 대한 접근에도 제한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북한전문 매체인 NK뉴스는 2012년 평양 김일성광장 건물에 걸려 있던 마르크스와 레닌의 초상화가 사라졌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대대적으로 신축한 당 간부 양성기관에 마르크스·레닌 초상화를 내건 데는 국제사회의 진영 분화 등 북한을 둘러싼 대내외적 환경 변화를 의식한 측면이 있을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북한의 뿌리가 사회주의 진영의 '보편적' 사상 기반과 맞닿아 있으며, 당 간부들에게도 이를 이론적으로 학습시킨다는 점을 보여주려 했을 가능성이 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은 "노동당과 김일성-김정일 주의의 사상적 기원이 마르크스-레닌주의에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자유주의에 대한 대응으로 북한을 중심으로 국제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발전시키겠다는 의도가 내포돼 있다"고 말했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도 "자신들이 특정 사상에 고립돼 있지 않고 마르크스 사상을 기반으로 한 국제주의적 연대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는 의미도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선대에 확립된 사상체계에 구애받지 않는 김정은 위원장의 특성을 보여준다는 평가도 내놓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