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0월 이후 처음 한 자릿수…구매력 상실 인한 소비급감 탓
아르헨 4월 물가상승 전월대비 8.8%로 둔화…1년간 289.4% 올라
아르헨티나 국립통계청(INDEC)은 지난 4월 소비자물가(IPC)가 전월에 비해 8.8% 상승했다고 14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로써 아르헨티나 월간 물가상승률은 작년 12월 밀레이 대통령 취임 이후 처음으로 한 자릿수를 기록하면서 둔화세를 보였다.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은 "우리가 물가상승률을 이기고 있다"라고 자축했다.

하지만 이는 한국의 연간 물가상승률 2.9%(4월 기준)의 3배를 상회한다.

아르헨티나 월간 물가상승률은 지난 10월 8.3%를 기록한 이후 계속 두자리 숫자를 유지했다.

작년 11월에는 12.8% 상승했고, 밀레이 정부가 출범해 페소화 가치를 50% 이상 평가절하한 12월에는 25.5%까지 치솟았으나 올해 1월 20.6%, 2월 13.2%, 3월 11%에 이어 4월 8.8%의 상승률로 계속 둔화세를 보였다.

하지만 작년 4월과 비교할 때 연간 물가상승률은 그동안 누적된 물가상승으로 인해 289.4%로 높다고 통계청은 밝혔다.

이로써 밀레이 취임 이후 5개월간 누적 물가상승률은 107%, 2024년 첫 4개월간 누적 물가상승률은 65%를 기록했다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가장 많이 상승한 부문은 주택·수도·가스·전기요금(35.6%)이었고, 전화 및 인터넷 요금 등 통신비(14.2%)와 의류·신발(9.4%)이 그 뒤를 이었다고 현지 매체 인포바에가 보도했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물가를 잡기 위해 당초 예고했던 최대 1000%의 가스요금 인상을 유예시켰으며, 지난 4개월간 평균 160% 이상 인상된 민간 의료 보험비를 놓고의료보험회사와 전면전을 치르기도 했다.

밀레이 정부는 폭등하는 민간 의료 보험비로 인해 중산층의 불만이 고조되자, 과점 시장에서 민간 보험 회사들이 카르텔화 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소비자물가상승률을 적용해 초과로 납부된 보험비를 환불해주지 않으면 일일 1%에 달하는 과태료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현지 일간 클라린은 이 두 가지 이유 외에도, 고물가로 인해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떨어졌고, 소비 급감으로 이어져 물가 둔화세를 기록하게 했다고 분석했다.

경제 전문가들은 지난 12월부터 4월까지 월급은 -20% 하락했으며, 4월 대형마트 판매는 -15%를 기록했다고 지적했다.

일부 경제학자는 고공행진 하는 물가를 억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극심한 소비 하락으로 경제가 회복되지 않으면 대규모의 해고로 이어져 'V'자 경기 회복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