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성·지속성 강조…리셴룽 전 총리는 선임장관으로
장기집권 인민행동당 세대교체…두번째 非리콴유 가문 출신
싱가포르, 20년 만에 지도자 교체…웡 신임 총리 취임
싱가포르 로런스 웡(51) 신임 총리가 15일 취임한다.

이로써 싱가포르는 20년 만에 새 지도자를 맞게 됐다.

AP통신과 스트레이츠타임스 등에 따르면 웡 신임 총리는 이날 오후 8시(현지시간) 대통령궁에서 열리는 취임식을 통해 제4대 총리로 공식 취임한다.

1965년 독립 이후 장기집권해온 싱가포르 인민행동당(PAP)은 지난 2022년 4월 리셴룽 총리 후계자로 웡 당시 재무장관을 낙점했다.

그는 PAP를 이끄는 젊은 정치 지도자들인 이른바 '4세대(4G) 그룹' 정치인 중 한 명이었다.

미국에서 유학한 관료 출신인 그는 2005년 리셴룽 총리 수석보좌관이 됐다.

2011년 총선에 출마해 당선되며 정계에 입문한 뒤 문화·공동체·청년부 장관, 국가개발부 장관, 교육부 장관 등을 거쳐 2021년 4월 재무부 장관을 맡았다.

그는 코로나19 사태로 구성된 정부 합동 태스크포스에서 맡은 공동의장직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았고, 2022년 부총리로 승진해 '대권 수업'을 해왔다.

싱가포르에서 대통령은 국가원수로 국가 통합을 추진하는 상징적인 자리이며, 실질적으로 총리가 정치·행정 각 분야에 최고 권한을 행사한다.

웡 신임 총리는 두 번째 비(非) 리콴유 가문 출신 총리다.

'싱가포르 국부'로 불리는 고(故) 리콴유 초대 총리는 1959년 6월부터 1990년 11월까지 31년간 집권했다.

2대 고촉통 총리를 거쳐 리콴유 총리 아들인 리셴룽 총리가 2004년부터 20년간 총리 자리를 지켜왔다.

웡 신임 총리는 취임에 앞서 지난 13일 간킴용 통상산업부 장관을 부총리로 승진하는 소규모 개각을 발표했다.

20년간 집권한 리셴룽 전임 총리는 선임장관으로 내각에 남는다.

재무장관직을 계속 겸하기로 한 웡 신임 총리는 "이번 정부 임기가 끝나가는 만큼 지속성과 안정성이 핵심적인 고려사항"이라고 말했다.

싱가포르 총선은 내년 11월 이전에 실시돼야 하지만 지도부 교체를 계기로 시점이 앞당겨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웡 신임 총리는 앞서 임기 동안 경제, 일자리, 물가 문제와 취약계층 보호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달 초 소셜미디어를 통해서는 "강하고 친절하며 결단력 있는 지도자가 되겠다"며 "모든 사람이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싱가포르를 건설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유진 탄 싱가포르경영대 교수는 "새 지도부는 PAP의 일당 지배력 약화를 늦추는 과제를 안고 있고, 물가 상승과 고용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외교적으로는 동남아에서 펼쳐지는 미국·중국 경쟁 국면을 헤쳐 나가야 한다"고 AP에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