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백신 수입액 연 수천억원…2027년 국산 mRNA백신 개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질병청장 "가격경쟁력 장점…3상까지 유망 기업 연구 지원"
보건정책·질병관리 의사도 필요…의대에 의사과학자 소개 확대 수입하는 데 연간 수천억원이 드는 외국 코로나19 백신을 대체하기 위해 정부가 2027년까지 국산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을 개발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14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국산 백신 개발 목표를 밝혔다.
mRNA 백신은 바이러스와 동일한 스파이크(돌기) 단백질이 체내 세포 표면에 돋아나도록 하는 mRNA를 주입해 면역을 형성하는 기술이다.
모더나, 화이자 백신이 이에 해당하며 코로나 사태에서 차세대 백신 기술로 인정받았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개발되지 못했다.
지 청장은 "지난해 수립한 신종감염병 대비 중장기계획에 따라 감염병 백신과 치료제를 100일, 200일 안에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mRNA 백신 기술이 필요하다"며 "질병청을 중심으로 지원단을 구성해 실제 상품화까지 가도록 임상 3상까지 기업들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코로나 엔데믹(일상적 유행)에서 mRNA 백신 개발이 중요한 이유로는 "인플루엔자처럼 매년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접종해야 하는 코로나 백신에 연간 몇천억씩 들어가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2020∼2023년 해외 백신 구매를 위해 7조6천억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빠른 변이'라는 신종감염병의 특성도 mRNA 백신이 필요한 이유다.
mRNA 백신은 항원만 바꾸면 신속하게 변이에 따른 새로운 백신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간담회에 동석한 장희창 국립감염병연구소 소장은 "셀트리온이 개발한 백신 등 mRNA가 아닌 국산 백신은 변이 때문에 쓰지 못하게 됐다"며 "변이 측면에서 mRNA를 따라갈 기술은 없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련 기관과 협력해 전달체(LNP) 등 '5대 핵심 기술'을 보유한 유망기업에 연구개발 예산을 지원한다.
구체적 지원 규모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지 청장은 "예비타당성조사 등을 위해 보고서를 준비하고 있고 완료되면 예산이 확정될 것"이라면서도 "3상까지 가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많은 액수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지 청장은 "현재 3∼4년의 기술 격차가 나는 선진국에서 개발한 백신과는 어떤 경쟁력이 있나"라는 질문에는 "기존 수입 백신 이상의 안전성과 효과를 가진 백신을 만들 것"이라며 "가격 경쟁력이 장점"이라고 답했다.
장 소장은 mRNA 백신의 안전성 우려에 "(코로나 백신은) 짧은 시간에 유효성에서 많은 부분이 검증됐다"며 "긴 시간을 두고 안전성을 검토하겠지만 백신 개발을 막을 정도는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지영미 청장은 백신 부작용 피해 보상과 관련해서는 "청장이 되고 가장 많이 고민한 부분"이라며 "지원 대상과 범위를 확대하는 정부안을 제출했는데 국회에서 합의되지 못해 안타깝다"고 했다.
다만, 부작용 피해 여부를 국가가 입증하는 '입증책임전환'은 "부담이 크다"고 도입에 선을 그었다.
지 청장은 의대 졸업생을 연구 분야 의사과학자로 유입시킬 방안에 대한 답으로는 "지난해 국내 의대를 대상으로 질병청의 역할과 의사 과학자를 소개한적이 있는데 (의대증원으로 인한) 의료계 문제가 마무리되면 이런 프로그램을 전국 의대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의대 졸업 후 임상 말고 보건정책·질병 관리를 하는 의사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보건정책·질병관리 의사도 필요…의대에 의사과학자 소개 확대 수입하는 데 연간 수천억원이 드는 외국 코로나19 백신을 대체하기 위해 정부가 2027년까지 국산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을 개발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14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국산 백신 개발 목표를 밝혔다.
mRNA 백신은 바이러스와 동일한 스파이크(돌기) 단백질이 체내 세포 표면에 돋아나도록 하는 mRNA를 주입해 면역을 형성하는 기술이다.
모더나, 화이자 백신이 이에 해당하며 코로나 사태에서 차세대 백신 기술로 인정받았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개발되지 못했다.
지 청장은 "지난해 수립한 신종감염병 대비 중장기계획에 따라 감염병 백신과 치료제를 100일, 200일 안에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mRNA 백신 기술이 필요하다"며 "질병청을 중심으로 지원단을 구성해 실제 상품화까지 가도록 임상 3상까지 기업들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코로나 엔데믹(일상적 유행)에서 mRNA 백신 개발이 중요한 이유로는 "인플루엔자처럼 매년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접종해야 하는 코로나 백신에 연간 몇천억씩 들어가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2020∼2023년 해외 백신 구매를 위해 7조6천억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빠른 변이'라는 신종감염병의 특성도 mRNA 백신이 필요한 이유다.
mRNA 백신은 항원만 바꾸면 신속하게 변이에 따른 새로운 백신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간담회에 동석한 장희창 국립감염병연구소 소장은 "셀트리온이 개발한 백신 등 mRNA가 아닌 국산 백신은 변이 때문에 쓰지 못하게 됐다"며 "변이 측면에서 mRNA를 따라갈 기술은 없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련 기관과 협력해 전달체(LNP) 등 '5대 핵심 기술'을 보유한 유망기업에 연구개발 예산을 지원한다.
구체적 지원 규모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지 청장은 "예비타당성조사 등을 위해 보고서를 준비하고 있고 완료되면 예산이 확정될 것"이라면서도 "3상까지 가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많은 액수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지 청장은 "현재 3∼4년의 기술 격차가 나는 선진국에서 개발한 백신과는 어떤 경쟁력이 있나"라는 질문에는 "기존 수입 백신 이상의 안전성과 효과를 가진 백신을 만들 것"이라며 "가격 경쟁력이 장점"이라고 답했다.
장 소장은 mRNA 백신의 안전성 우려에 "(코로나 백신은) 짧은 시간에 유효성에서 많은 부분이 검증됐다"며 "긴 시간을 두고 안전성을 검토하겠지만 백신 개발을 막을 정도는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지영미 청장은 백신 부작용 피해 보상과 관련해서는 "청장이 되고 가장 많이 고민한 부분"이라며 "지원 대상과 범위를 확대하는 정부안을 제출했는데 국회에서 합의되지 못해 안타깝다"고 했다.
다만, 부작용 피해 여부를 국가가 입증하는 '입증책임전환'은 "부담이 크다"고 도입에 선을 그었다.
지 청장은 의대 졸업생을 연구 분야 의사과학자로 유입시킬 방안에 대한 답으로는 "지난해 국내 의대를 대상으로 질병청의 역할과 의사 과학자를 소개한적이 있는데 (의대증원으로 인한) 의료계 문제가 마무리되면 이런 프로그램을 전국 의대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의대 졸업 후 임상 말고 보건정책·질병 관리를 하는 의사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