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구매 비용 증가 등 영향으로 올 1분기 ‘어닝 쇼크’를 기록한 한국전력 주가가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실적 발표 이후 주요 증권사가 목표 주가를 줄하향한 가운데 전기요금 인상 없이는 올 하반기까지 실적 리스크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전, 흑자에도 급락…"요금 안 높이면 답 없다"
한국전력 주가는 13일 5.92% 하락한 1만9380원에 마감했다. 1분기 실적 발표 전날인 지난 9일 종가 2만1800원과 비교해 2거래일 만에 11.1% 급락했다. 10일과 13일 이틀 동안 기관과 외국인은 한국전력 주식을 각각 937억원, 449억원어치 순매도한 반면 개인은 1403억원어치 순매수했다.

10일 한전은 증권가 컨센서스(2조6288억원)보다 50.6% 낮은 1조2993억원의 영업이익을 지난 1분기에 거뒀다고 발표했다. 이 같은 어닝 쇼크에 주요 증권사는 13일 한전의 목표주가를 잇따라 하향 조정했다. 하나증권은 2만4000원으로 기존 목표가에서 25% 낮췄고, 메리츠증권은 2만7000원으로 13% 내렸다, 신한투자증권은 10% 하향한 2만6000원, NH투자증권은 7% 낮춘 2만8000원으로 내렸다.

문경원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에너지 가격 하락에도 전력 구입 비용이 오히려 상승한 데 대해 “믿고 있던 상관관계들이 깨졌다”며 “비용 증가가 일회성으로 느껴지지 않는 만큼 요금 인상의 필요성이 자명해졌다”고 분석했다. 이민재 NH투자증권 연구원도 “만약 인상이 없다면 재무구조뿐 아니라 미래를 위한 전력시장 재편도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최근 원유 가격에 이어 액화천연가스(LNG) 가격이 다시 꿈틀대는 등 하반기 전망도 어두워지고 있다. 그럼에도 총선 직후로 예상됐던 전기요금 현실화 시점은 물가 부담을 이유로 3분기 이후로 밀리는 분위기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최근 “민생에 직격탄이라 부담이 크다”고 밝힌 바 있다.

일각에선 지난해처럼 한전채가 채권시장 수요를 빨아들이는 구축효과가 다시 나타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유재선 하나증권 연구원은 “낮아지는 연간 실적 기대치를 감안하면 차입금 규모가 상당 부분 증가할 개연성이 있다”며 “사채발행 한도를 꾸준히 관찰해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한신 기자 p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