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이익 92% 증발"...케이블TV '비상'
케이블TV MSO(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의 방송 부문 영업이익이 2018년 2천334억원에서 2022년 193억원으로 92%나 줄어들자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했다고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가 13일 밝혔다.

방송통신위원회 '2023년 방송시장경쟁상황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MSO의 방송 부문 영업이익률은 2018년 12.6%, 2019년 11.1%, 2020년 5%, 2021년 2.5%, 2022년 1.2%로 지난 5년간 누적 11.4%포인트 하락했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2천억원 이상 줄었다.

협회는 "케이블TV는 지역 단위 허가사업자로 IPTV 및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 경쟁사업자 대비 다양한 규제를 적용받고 있으며, 30여 년 전 부여받은 지역 채널 운용 의무로 인해 투자비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같은 추세라면 케이블 산업 자체가 존폐 위기에 놓일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상황이다.

케이블TV가 지상파, 종편, 일반 PP 등에 지급하는 총 콘텐츠 사용 규모는 2022년 기준 5천336억 원으로 총수신료 매출 대비 86.8% 수준이라고 협회가 밝혔다.

지상파 채널 시청률이 지속 하락하고 있어 인접 홈쇼핑채널의 매출 하락 및 홈쇼핑 사업자가 케이블TV에 지급하는 송출 수수료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이다.

협회는 "그런데도 채널에 대한 평가나 재송신료 지급에 대한 기준 없이 유료방송 생태계를 파괴할 수준의 재송신료 인상 지급을 지속 요구하고 있어 케이블TV의 경영 상황을 더 악화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케이블TV 업계는 이러한 상황 속 협회를 주축으로 '비상경영대책회의체'를 구성하기로 했다.

(사진=연합뉴스)


박근아기자 twilight1093@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