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 부실 사업장 팔면 되살 권리 먼저 주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융당국, PF 구조조정 속도
내주 초 시장 정상화 대책 발표
1조원 캠코 펀드 운용 본격화
"업황 호전땐 시행사에 되살 기회"
공동대출 참여 은행·보험사에
면책 범위 확대 등 인센티브
내주 초 시장 정상화 대책 발표
1조원 캠코 펀드 운용 본격화
"업황 호전땐 시행사에 되살 기회"
공동대출 참여 은행·보험사에
면책 범위 확대 등 인센티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구조조정을 위해 은행·보험권 신규 자금에 이어 1조원대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펀드가 투입된다. 캠코 펀드에 부실 사업장을 싸게 넘기면 향후 사업장을 되살 수 있는 우선매수권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구조조정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다음주 초 발표하는 ‘PF 정상화 방안’에 이 같은 내용의 캠코 펀드 활성화 방안이 담길 전망이다. 작년 10월 본격 가동된 캠코 펀드는 부동산 PF 정상화를 위해 금융당국이 주도해 조성했다. 본PF로 넘어가지 못한 브리지론 단계 부실채권 등을 매입해 사업을 재구조화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하지만 8개월간 집행 실적이 두 건에 그치며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였다. 캠코 펀드 운용사와 매도자인 PF 대주단의 가격 눈높이가 너무 차이 났기 때문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캠코 펀드 운용사와 매각 측(대주단)의 가격 조정이 안 되다 보니 집행 실적이 저조했다”며 “캠코에 매각하면 다시 되살 수 있는 우선매수권을 부여해 매각 유인을 높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금융당국은 대주단이 캠코 펀드에 사업장을 매각한 뒤 되살 수 있는 우선매수권을 부여받으면 가격 협상에서 갖는 부담을 덜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1조원대 캠코 펀드는 은행·보험권이 공동으로 조성하는 신디케이트론(공동대출)과 함께 PF 사업장을 구조조정하는 실탄으로 쓰일 전망이다.
금융당국은 여유자금이 있는 은행과 보험사가 PF 사업장 재구조화를 위해 공동대출 및 펀드 조성에 나서면 건전성 분류를 상향해주거나 면책 범위를 확대해주는 인센티브도 제공할 계획이다. PF 시장 구조조정이 본격화하고 경·공매 압력이 확대되더라도 민간이나 캠코 등이 충분히 물량을 받아줄 수 있다는 신호를 지속적으로 주고 있는 것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가격이 충분히 내려가면 시장에서는 수요자가 생기기 마련”이라며 “그런 시장 메커니즘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장애물을 치워주면 PF 시장 연착륙이 더 의미 있게 진척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한종 기자 onebell@hankyung.com
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다음주 초 발표하는 ‘PF 정상화 방안’에 이 같은 내용의 캠코 펀드 활성화 방안이 담길 전망이다. 작년 10월 본격 가동된 캠코 펀드는 부동산 PF 정상화를 위해 금융당국이 주도해 조성했다. 본PF로 넘어가지 못한 브리지론 단계 부실채권 등을 매입해 사업을 재구조화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하지만 8개월간 집행 실적이 두 건에 그치며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였다. 캠코 펀드 운용사와 매도자인 PF 대주단의 가격 눈높이가 너무 차이 났기 때문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캠코 펀드 운용사와 매각 측(대주단)의 가격 조정이 안 되다 보니 집행 실적이 저조했다”며 “캠코에 매각하면 다시 되살 수 있는 우선매수권을 부여해 매각 유인을 높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금융당국은 대주단이 캠코 펀드에 사업장을 매각한 뒤 되살 수 있는 우선매수권을 부여받으면 가격 협상에서 갖는 부담을 덜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1조원대 캠코 펀드는 은행·보험권이 공동으로 조성하는 신디케이트론(공동대출)과 함께 PF 사업장을 구조조정하는 실탄으로 쓰일 전망이다.
금융당국은 여유자금이 있는 은행과 보험사가 PF 사업장 재구조화를 위해 공동대출 및 펀드 조성에 나서면 건전성 분류를 상향해주거나 면책 범위를 확대해주는 인센티브도 제공할 계획이다. PF 시장 구조조정이 본격화하고 경·공매 압력이 확대되더라도 민간이나 캠코 등이 충분히 물량을 받아줄 수 있다는 신호를 지속적으로 주고 있는 것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가격이 충분히 내려가면 시장에서는 수요자가 생기기 마련”이라며 “그런 시장 메커니즘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장애물을 치워주면 PF 시장 연착륙이 더 의미 있게 진척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한종 기자 onebe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