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여당, 민정기능 강화 필요성엔 공감…野비판·여론 등 주시
尹대통령 "브리핑룸 자주 찾겠다"…취임 2주년 기자회견도 검토
대통령실 후속개편 본격 착수…'핵심 퍼즐' 민정수석 부활 주목
대통령 비서실장과 정무수석이 새롭게 임명되면서 여당 총선 참패에 따른 대통령실 개편의 또 다른 핵심 퍼즐인 민정수석실의 부활 여부에 정치권의 관심이 쏠린다.

대통령실은 '용산 3기'를 이끌게 된 정진석 비서실장이 23일 오후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임명장을 받고 업무를 시작함에 따라 후속 개편 작업에 본격적으로 돌입했다.

시급했던 비서실장·정무수석 인선이 '정무형'으로 마무리됨에 따라, 총선 전후로 유력 검토돼온 민정수석실 신설 문제도 조만간 윤곽이 잡힐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과 여당 모두 각계각층의 '민심 청취'를 명분으로 내세워 신설 필요성 자체엔 공감하는 모습이다.

총선에서 드러난 민심의 저변을 정확히 읽고 수렴해 국정 운영에 참고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다만,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폐지 의사를 밝히고 실행했던 만큼 신설할 경우 명칭이나 기능에는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안 명칭으로는 '법무수석실', 또는 '법률수석실'이 거론되며, 동시에 사정 기능을 덜어내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온다.

민정수석실이 불법사찰이나 감찰 무마 등에 연루됐던 전례 때문이다.

대통령실은 지난 15일 관련 보도에 '결정된 게 없다'면서도 "민정수석실과 같이 민심을 청취하는 조직이 필요하다는 건의와 조언을 많이 듣고 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검찰 출신 친윤(친윤석열)계인 국민의힘 유상범 의원도 이날 MBC라디오에서 민심 청취 시스템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수석급이 민심을 취하는 역할과 비서관이 하는 역할에 차이가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야당을 중심으로 '특검 방어막', '사정기관 통제' 등의 비판이 제기되는 상황 등을 주시하며 다각도로 형태와 기능 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어떤 형태로든 민정수석실이 부활할 경우 현재 비서실장 산하인 법률비서관실과 공직기강비서관실이 옮겨가고, 이에 더해 민정비서관실 등을 추가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수석 후보군으로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는 인사는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다.

2022년 6월 첫 검찰 출신 금감원장으로 취임한 이 원장 임기는 내년 6월까지다.

그는 지난 17일 한 언론 인터뷰에서 내각 합류설에 '낭설'이라고 말한 것으로 보도됐으나, 다음날 한 행사장에서 거취를 묻는 기자들의 질의에 답변하지 않았다.

한편, 대통령실 개편 과정에서 한때 정무수석을 장관급으로 올리고 그 산하에 흡수되는 방향으로 논의됐던 시민사회수석은 유지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수석에는 전광삼 전 시민소통비서관 등이 거론된다.

성태윤 정책실장과 산하 정책 담당 수석들도 총선 참패 직후 사의를 밝혔지만, 현재로선 교체 가능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도운 홍보수석도 유임설이 나온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회담을 위한 실무 협의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홍철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이날 오후 천준호 민주당 대표 비서실장을 만나 1차 실무접촉에 나섰다.

다만 회담 시기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당초 24일이나 25일에 회담이 열릴 것으로 예상됐지만, 정무수석 교체와 의제 조율 등의 이유로 이번 주 후반이나 다음 주 초로 넘어갈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윤 대통령은 언론과 다각도로 소통을 늘리겠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1층 브리핑룸을 오전과 오후 잇달아 찾아 인선을 직접 발표한 윤 대통령은 참모진에게 "기회가 될 때 브리핑룸을 좀 더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대통령실 관계자가 전했다.

취임 첫해인 2022년 11월 18일을 마지막으로 중단된 출근길 문답(도어스테핑) 재개까지는 아니어도, 필요할 때마다 기자들과 간단한 질의응답을 하겠다는 것이다.

다음 달 초 취임 2주년을 전후해 출입기자단과 기자회견을 하는 방안 등도 다시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