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국방장관, 17개월만에 소통 재개…美, 北도발에 우려 표명(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22년 당시 펠로시 하원의장 대만방문으로 단절됐던 군사채널 복원
美, 남중국해 항해의 자유·대만해협 안정 중요성 재차 강조
조 바이든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이 이달 초 전화 통화를 하면서 미중간 '대화 모드'가 계속되는 가운데 양국 국방부 장관이 17개월만에 화상 회담을 하면서 한동안 단절됐던 군사채널이 사실상 완전히 복원되는 모습이다.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과 둥쥔 중국 국방부장은 16일(현지시간) 화상 회담를 하고 국방 관계, 역내외 안보 이슈에 대해 논의했다.
오스틴 장관은 회담에서 미중 양국간 군 소통 채널을 계속 열어두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과 미국은 국제법이 허용하는 모든 곳에서 안전하고 책임감 있게 비행, 항해, 작전을 계속할 것이란 입장을 강조했다고 미국 국방부가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오스틴 장관은 또 남중국해에서 국제법에 따라 보장된 공해상의 항해의 자유를 존중한다는 점도 재차 강조했다.
그는 또 대만 문제와 관련, 미국의 '하나의 중국' 정책에 변화가 없다는 점과 대만 해협에서의 평화와 안정의 중요성도 언급했다.
오스틴 장관은 둥쥔 부장과 러시아의 명분 없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해서도 논의했다고 미국 국방부는 밝혔다.
앞서 미국 백악관은 지난 12일 중국이 러시아에 무기 생산에 필요한 전자부품 등을 공급,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을 사실상 지원하고 있다고 공개적으로 비판한 바 있다.
오스틴 장관은 회담에서 북한의 최근 도발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명했다.
이와 함께 이란의 대(對)이스라엘 보복 공격으로 중동 전쟁의 확전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라는 점에서 양측간 이에 대해서도 비중 있게 논의했을 것으로 보인다.
바이든 대통령이 이스라엘에 신중한 대응을 주문한 가운데 중국도 이란 등을 연쇄 접촉하고 상황 관리에 나선 상태라는 점에서다.
주요 2개국(G2)인 미중간 국방부 장관이 소통한 것은 2022년 11월 캄보디아에서 열린 제9차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회의(ADMM-Plus) 계기 회담 이후 처음이다.
중국은 2022년 8월 낸시 펠로시 당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을 계기로 '군 대 군' 채널을 비롯한 각종 대화를 중단했으며 이후 다른 대화는 재개됐다.
바이든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은 지난해 11월 정상회담에서 군사 채널 복원에 합의했으며 이달 초 전화 통화에서도 이런 방침을 재확인했다.
미중은 ▲ 지난해 12월 합참의장간 화상 회담 ▲ 지난 1월 국방정책조정회담 ▲ 지난 3~4일 해상군사안보협의체(MMCA) 작업반 회의 등을 잇따라 개최했으며 이번에 국방 장관간 화상 회담도 개최하게 됐다.
이번 회담은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 10일 미일정상회담, 11일 미·일·필리핀 3국정상회의를 하면서 남중국해 등에서 패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을 겨냥한, 이른바 격자형 안보구조 구축을 강화하는 가운데 성사된 것도 주목되는 부분이다.
중국은 미·일 정상회담 및 미·일·필리핀 정상회의에 대해 "중국을 겨냥한 악의적인 공격과 비난"이라고 반발했으나 국방장관간 소통은 진행했기 때문이다.
미국 국방부는 보도자료에서 "국방부는 앞으로 중국 측 카운터파트와 다양한 수준에서의 군 당국자간 향후 대화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美, 남중국해 항해의 자유·대만해협 안정 중요성 재차 강조
조 바이든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이 이달 초 전화 통화를 하면서 미중간 '대화 모드'가 계속되는 가운데 양국 국방부 장관이 17개월만에 화상 회담을 하면서 한동안 단절됐던 군사채널이 사실상 완전히 복원되는 모습이다.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과 둥쥔 중국 국방부장은 16일(현지시간) 화상 회담를 하고 국방 관계, 역내외 안보 이슈에 대해 논의했다.
오스틴 장관은 회담에서 미중 양국간 군 소통 채널을 계속 열어두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과 미국은 국제법이 허용하는 모든 곳에서 안전하고 책임감 있게 비행, 항해, 작전을 계속할 것이란 입장을 강조했다고 미국 국방부가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오스틴 장관은 또 남중국해에서 국제법에 따라 보장된 공해상의 항해의 자유를 존중한다는 점도 재차 강조했다.
그는 또 대만 문제와 관련, 미국의 '하나의 중국' 정책에 변화가 없다는 점과 대만 해협에서의 평화와 안정의 중요성도 언급했다.
오스틴 장관은 둥쥔 부장과 러시아의 명분 없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해서도 논의했다고 미국 국방부는 밝혔다.
앞서 미국 백악관은 지난 12일 중국이 러시아에 무기 생산에 필요한 전자부품 등을 공급,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을 사실상 지원하고 있다고 공개적으로 비판한 바 있다.
오스틴 장관은 회담에서 북한의 최근 도발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명했다.
이와 함께 이란의 대(對)이스라엘 보복 공격으로 중동 전쟁의 확전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라는 점에서 양측간 이에 대해서도 비중 있게 논의했을 것으로 보인다.
바이든 대통령이 이스라엘에 신중한 대응을 주문한 가운데 중국도 이란 등을 연쇄 접촉하고 상황 관리에 나선 상태라는 점에서다.
주요 2개국(G2)인 미중간 국방부 장관이 소통한 것은 2022년 11월 캄보디아에서 열린 제9차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회의(ADMM-Plus) 계기 회담 이후 처음이다.
중국은 2022년 8월 낸시 펠로시 당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을 계기로 '군 대 군' 채널을 비롯한 각종 대화를 중단했으며 이후 다른 대화는 재개됐다.
바이든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은 지난해 11월 정상회담에서 군사 채널 복원에 합의했으며 이달 초 전화 통화에서도 이런 방침을 재확인했다.
미중은 ▲ 지난해 12월 합참의장간 화상 회담 ▲ 지난 1월 국방정책조정회담 ▲ 지난 3~4일 해상군사안보협의체(MMCA) 작업반 회의 등을 잇따라 개최했으며 이번에 국방 장관간 화상 회담도 개최하게 됐다.
이번 회담은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 10일 미일정상회담, 11일 미·일·필리핀 3국정상회의를 하면서 남중국해 등에서 패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을 겨냥한, 이른바 격자형 안보구조 구축을 강화하는 가운데 성사된 것도 주목되는 부분이다.
중국은 미·일 정상회담 및 미·일·필리핀 정상회의에 대해 "중국을 겨냥한 악의적인 공격과 비난"이라고 반발했으나 국방장관간 소통은 진행했기 때문이다.
미국 국방부는 보도자료에서 "국방부는 앞으로 중국 측 카운터파트와 다양한 수준에서의 군 당국자간 향후 대화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