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 심판론' 선거 전략 패착 지적…'용산발 악재 속 분투' 옹호론도
당권·대권 도전으로 정치행보 재개할까…'황교안 전철 밟을 것' 반론도
[4·10 총선] '9회말 대타' 한동훈, 정권심판 회초리에 107일만에 퇴장
국민의힘의 4·10 총선을 진두지휘했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11일 참패의 책임을 지고 비대위원장직을 내려놨다.

작년 말 '9회 말 투아웃 대타'를 자처하며 여당 수장 자리에 오른 지 107일 만이다.

그가 비대위원장으로 추대될 때만 해도 여권 내 기대감은 컸다.

한 위원장이 키를 잡은 직후 국민의힘 지지율은 상승세를 탔고, 여의도 문법을 탈피한 그의 언행에 지지자들은 뜨거운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총선이 가까워질수록 지지율이 정체되면서 '한동훈 효과'가 한계에 다다랐다는 신호가 감지됐다.

한 위원장은 끝내 자신이 원톱으로 서는 선대위 진용을 꾸려 총선을 치렀다.

결국 참담한 성적표를 받아 들고 타석을 떠나게 됐다.

정치권에선 운동권 정치 청산이나 '이·조(이재명·조국) 심판'에 주력한 한 위원장의 선거 전략이 패착이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권 심판론 바람이 불기 마련인 총선에서 집권당이 도리어 '야당을 심판하자'는 메시지를 앞세우다 보니 유권자들의 호응을 얻지 못했다는 것이다.

한 중진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기본적으로는 정부에 대한 심판 여론이 강해 패한 것이지만, 한 위원장이 공천 과정을 포함해 보여주기식 쇼에만 집중해 더 크게 진 것"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총선 참패의 책임을 한 위원장에게만 지울 수 없다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근본적인 책임은 한 위원장이 아닌 윤석열 대통령에게 있다는 주장이 당내에 적지 않다.

김건희 여사 명품백 수수 의혹, 이종섭·황상무 논란, 대파값 발언 논란, 의정 갈등 등 대통령실발(發) 악재가 거듭되는 상황에서 한 위원장의 분투로 선거운동 막판 지지층을 결집해 그나마 개헌선인 범야권 200석을 저지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영남권의 한 의원은 "한 위원장이 당이 쓰러져 갈 때 와서 분위기를 완전히 바꿔놨는데 3월부터 다른 변수들이 영향을 미친 것"이라며 "한 위원장 책임이라고 할 게 아니라, 정치 경험이 없는데도 온몸을 불사른 것을 당이 고맙게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 위원장의 공과에 대한 평가가 이처럼 엇갈리는 만큼, 그의 향후 행보에 대한 관측도 분분하다.

[4·10 총선] '9회말 대타' 한동훈, 정권심판 회초리에 107일만에 퇴장
한 위원장은 당분간 휴식을 취할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날 비대위원장직 사퇴 발표 기자회견에선 '정치를 계속할 것이냐'는 질문에 "제가 한 약속을 지키겠다"고 답했다.

그는 총선 유세 때 여러 차례 해외 유학설 등을 부인하는 과정에서 공적으로 봉사할 일만 남았다며 총선 이후에도 정치권을 포함한 공적 영역에서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바 있다.

이 때문에 한 위원장이 상당 기간의 휴식기를 거치고 나서 다시 등장해 당권이나 대권에 도전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여권 내 대안 부재,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대항마로서의 상징성 등을 고려하면 총선 패배 후유증이 가라앉고 난 뒤 한 위원장이 자기 뜻과 무관하게 여의도로 소환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 초선 의원은 "우리 당에서 국민적 지지를 25% 내외로 받는 사람이 있느냐"며 "이제 곧 꽃이 떨어지고 장마가 오면 봄비를 가리던 우산이 다시 생각날 때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한 위원장이 4년 전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총선을 이끌었던 황교안 전 대표의 전철을 밟을 것이라는 예측도 있다.

황 전 대표도 당시 '보수의 구원자'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등장했다가 총선 참패로 사퇴했다.

그는 작년 국민의힘 전당대회에 당 대표 후보로 출마했다가 꼴찌를 했고, 이후에도 당내에서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했다.

한 위원장과 황 전 대표가 각각 윤석열 정부와 박근혜 정부의 초대 법무부 장관 출신이었다는 점도 새삼스럽게 거론된다.

익명을 요구한 중진 의원은 "한 위원장이 나중을 기약하는 것은 본인의 희망 사항일 뿐"이라며 황 전 대표처럼 한 위원장도 재기가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