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린 한경 아르떼필하모닉 정기연주회에서 이병욱 지휘자와 윤소영 바이올리니스트가 협연하고 있다.  /이솔 기자
28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린 한경 아르떼필하모닉 정기연주회에서 이병욱 지휘자와 윤소영 바이올리니스트가 협연하고 있다. /이솔 기자
북구의 빙하처럼 푸른빛을 발하는 장엄하고 신비한 울림, 그것이 지휘자 이병욱이 한경 아르떼필하모닉이란 프리즘을 통해 구현한 바그너의 세계였다. 오페라 ‘로엔그린’은 바그너에게 중요한 의미가 있는 작품이다. 바그너 음악 인생의 초기를 마감하고 원숙기를 예고하기 때문이다. 지난 28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린 한경 아르떼필하모닉 3월 정기연주회의 첫 무대를 장식한 ‘로엔그린’ 1막 전주곡은 바그너에게 그랬던 것처럼 한경 아르떼필하모닉의 원숙기를 예고하는지도 모른다.

고음에 피아니시모(매우 약하게)로 균질한 소리를 들려주는 것은 연주자에게 대단한 고역(苦役)이다. 그렇기에 ‘로엔그린’ 1막 전주곡은 시작부터 여간 까다로운 게 아니다. 프레이즈(멜로디 라인) 안에서 피아노로 피아니시모에서 크레센도(점점 세게)까지 표현해야 하는 데다 집중력이 조금만 흐트러져도 신비한 울림은 사라져 버린다. 하지만 모든 부분이 맞아떨어졌을 때의 감동은 상당하다. 침묵에서 출발하는 바그너의 음악은 순식간에 청중에게서 몰입을 이끌어냈다. 그리고 서서히 풍성함을 더하며 쌓아 올린 드라마는 클라이맥스에 이르자 자연스럽게 카타르시스로 이어졌다.

이어진 시벨리우스의 ‘바이올린 협주곡’은 이병욱과 한경 아르떼필하모닉이 구축한 세계에 한층 깊이를 더했다. 바그너와 마찬가지로 시벨리우스 또한 극도의 피아니시모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신비로운 바이올린 음형은 빙하 아래로 흐르는 거대한 강처럼 객석을 서서히 잠식해 나아갔다. 이어 솔리스트로 무대에 오른 바이올리니스트 윤소영의 연주는 차갑고 예리했다. 시벨리우스 특유의 희뿌연 사운드와 대비를 이루며 연주에 입체성을 부여했다.

윤소영의 연주에서 주목할 점은 2악장이라고 할 수 있다. 1악장이 독주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가 대화를 주고받는 방식으로 주목을 끄는 반면 2악장은 3악장을 향해 가는 여정의 경유 역 같은 인상을 받곤 한다. 하지만 윤소영은 오히려 2악장에서 더욱 농밀한 연주를 들려줬다. 그렇기에 어떤 면에서 1악장의 서늘한 심상이 다소 희석되는 인상도 있었지만 착실하게 드라마를 쌓아 올렸기에 3악장에서 추진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연주회의 메인 프로그램은 생상스 ‘교향곡 3번 오르간’이었다. 이날 연주회 프로그램의 공통점 중 하나는 현악의 피아니시모로 시작한다는 것이다. 한경 아르떼필하모닉의 현은 밀도 높은 소리로 이병욱의 지휘봉에 반응했다. 현에 이어 오보에, 클라리넷, 바순 그리고 플루트로 이어지며 쌓아 올린 음률의 성당은 1악장 12마디에 이르러 격렬함을 더했다. 1악장 후반부에 등장하는 오르간의 울림은 연주의 국면을 순식간에 전환했다. 고요하고 경건한 오르간의 지속음이 어둠을 진정시킨 까닭이다.

2악장 후반부 시작 부분 악보엔 따로 다이내믹 지시가 없다. 대신 작곡가는 겹세로줄로 2악장 전반부와 후반부를 분리해 전혀 다른 피날레의 국면 전환을 알린다. 여기서 이병욱은 이전 프레이즈의 잔향이 충분히 잦아들도록 숨을 고르고 피날레를 향해 무직한 걸음을 내디뎠다. 진노의 날의 어둠을 딛고 빛에 이른 연주는 찬란했다.

권고든 음악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