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태껏 학생 목소리와 요구 일절 무응답 일관하다 대화 나선다고 해"
"학생의 자유와 권리 강제 억압한다면 법률 검토 등 대응할 것"
교육부 대화 제안에, 의대생 단체 "그 누구도 연락 없었다"
정부가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해 의대생들이 낸 휴학을 인정하지 않는 가운데 의대생들이 "헌법과 학칙으로 보장된 학생의 권리를 억압하지 말라"고 반발했다.

교육부 장관의 대화 제안과 관련해서는 "연락을 받은 적 없다"고 비판했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전날 회원들에게 보낸 '서신'에서 "만일 (휴학 관련) 학생의 자유와 권리를 강제로 억압한다면 이는 자유민주주의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행위이며 법률 검토를 포함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의대생들의 집단 휴학 신청에 대해 교육부가 "동맹휴학은 휴학 사유가 아니기 때문에 허가 불가 방침을 고수하는 것에 대한 반발이다.
교육부에 따르면 전날까지 전국 40개 대학 의대생 중 '유효 휴학' 신청 건수는 총 6천51건으로 의대 재학생(1만8천793명)의 32.2% 수준이다.

지난달까지 유효 절차를 밟지 않고 단순 휴학계를 제출한 의대생은 총 1만3천697명(중복 포함)이나 되면서 전체 의대생의 72.9%를 차지하기도 했다.

의대협은 이와 함께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대화를 제안했고 전날 오후 6시까지 정부에 답신을 달라고 부탁했다고 밝힌 점에 대해서도 '소통 노력이 전혀 없었다'고 지적했다.

의대협은 "현재 공동 비상대책위원장직을 수행한 3인의 위원장 중 그 누구에게도 교육부 연락이 오지 않았고, 의대협도 공식적 연락을 직접 받지 못했다"며 "교육부가 존중과 대화의 진정성을 갖는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의대협은 "오히려 학생들의 휴학계를 처리하지 말라는 비상식적이고 모순적인 태도에 큰 유감을 표한다"며 "여태껏 학생의 목소리와 요구에 일절 무응답으로 일관했던 교육부가 학생들의 학적 변동이 임박하자 대화에 나서겠다는 것은 학생 의지를 전적으로 무시하는 형태"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 단체는 교육부가 '일부 학교에서 수업을 거부하고 있다'고 설명한 점을 반박하기도 했다.

의대협은 "의대협에서 파악한 결과 40개 모든 단위 예과 1학년 학생들은 전공 수업을 듣지 않고 있다"며 "예과 1학년을 포함한 전국 의대생들이 같은 목소리를 내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의대협은 최근 의사 커뮤니티에 현장에 남아있는 전공의를 비판하는 글이 올라온 것을 염두에 둔 듯 "동시에 협회는 학생 여러분께 특정 단위나 개인에 대한 온오프라인 상 비난을 일절 지양할 것을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