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자율주행 서비스로봇 스타트업…로봇 SW 플랫폼화·군집제어 등 강점
오픈 플랫폼으로 로봇사업 시너지…상업용 로봇사업 육성 속도

LG전자가 인공지능(AI) 기반 자율주행 서비스로봇 스타트업 베어로보틱스에 800억원 규모의 전략적 투자를 한다.

이를 통해 미래 신사업 중 하나로 육성 중인 배송·물류 등 상업용 로봇 사업의 역량 고도화에 속도를 낸다는 전략이다.

LG전자, 美베어로보틱스에 800억 전략적 투자…로봇역량 고도화
LG전자는 미국 실리콘밸리 레드우드시티에 본사를 둔 베어로보틱스에 6천만달러를 투자, 베어로보틱스의 지분을 취득하는 신주인수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지분 투자는 단기 수익을 추구하는 재무적 투자가 아니라 사업 포트폴리오 고도화 관점에서 진행하는 전략적 투자의 일환이다.

주식매매거래가 종결되면 LG전자는 단일주주 기준 베어로보틱스의 최대지분 보유자가 된다.

구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출신인 하정우 대표가 이끄는 베어로보틱스는 2017년 설립됐으며, 공동 창업자인 최고기술책임자(CTO)를 비롯해 구글 등 빅테크 출신 엔지니어를 다수 보유하고 있다.

AI 기반 자율주행 실내배송 로봇을 앞세워 국내는 물론 미국, 일본 등에서 서비스를 하고 있다.

오픈 플랫폼 기반의 로봇 개발 역량은 글로벌 톱 수준으로 평가받으며, 특히 상업용 로봇 소프트웨어의 플랫폼화, 다수의 로봇을 제어하는 군집제어 기술, 클라우드 기반 관제 솔루션 분야 등에서 뛰어난 역량을 보유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앞서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초 열린 'CES 2024' 기자간담회에서 "LG전자의 상업용 로봇 사업은 주로 배송과 물류 등 서비스 영역에 집중하고 있으며, 지분투자나 인수합병(M&A) 가능성을 열어두고 발전 방향을 주의 깊게 보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LG전자, 美베어로보틱스에 800억 전략적 투자…로봇역량 고도화
LG전자는 수년간 휴대폰과 태양광 등 한계 사업을 과감히 정리하고 미래 고성장 영역에 자원을 집중해 왔으며, 이번 지분 투자 역시 상업용 로봇 사업의 조기 전력화와 육성을 가속화하는 차원이라고 밝혔다.

향후 상업용 로봇의 패러다임은 AI 기반의 소프트웨어 중심 로봇(SDR)으로 전환될 것이라며, 개방형 구조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서비스 로봇의 확장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AI 기반 자율주행 로봇 플랫폼의 표준화가 중요한 만큼 이번 투자가 미래 신사업으로 육성 중인 로봇 사업의 역량을 빠르게 끌어올리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G전자는 경북 구미 LG 퓨쳐파크에 상업용 로봇 자체 생산시설을 갖추고 2017년 인천국제공항 안내로봇 서비스를 시작으로 배송, 방역 등 다양한 상업 공간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선보여 왔다.

여기에 베어로보틱스가 보유한 글로벌 연구개발(R&D) 인프라와 소프트웨어 플랫폼 역량을 더하면 로봇 플랫폼 표준화를 주도하고 시장 진입 비용을 혁신적으로 낮출 수 있어 사업 효율과 시너지 극대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LG전자는 설명했다.

하정우 대표도 "안드로이드가 스마트폰 시대를 연 것처럼 로봇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표준화된 오픈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LG전자, 美베어로보틱스에 800억 전략적 투자…로봇역량 고도화
서비스 로봇 시장은 AI, 통신 등 관련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저출산, 고령화 등 생산활동 인구 감소가 이어지며 빠르게 성장할 전망이다.

글로벌 서비스 로봇 시장 규모는 2021년 362억달러(약 48조원)에서 오는 2026년 1천33억달러(약 137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삼수 LG전자 최고전략책임자(CSO)는 "이번 지분투자는 본격 성장기에 접어들 서비스 로봇 사업의 '이기는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라며 "중장기 관점에서는 '임바디드(Embodied) AI'(시각·언어·행동모델 기반 신체를 가진 AI)나 로봇 매니퓰레이션 고도화 등 차별화 기술 영역과 접목해 다양한 기회를 탐색하며 로봇 사업을 미래 성장엔진으로 만들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