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의과대학들 2배 이상 증원 신청한 듯…수치는 함구
돌아온 전공의 '2명'…대전 미복귀 전공의에도 불이행확인서
정부가 업무개시명령에도 돌아오지 않은 전공의에 대한 면허정지 절차에 들어간 가운데 대전 지역 상급병원 전공의들에게도 불이행확인서가 발부됐다.

5일 의료계에 따르면 복지부는 전날까지 대전 지역 상급종합병원인 충남대병원·건양대병원에서 미복귀 전공의에 대한 현장 점검을 벌여 업무개시명령 위반 사실을 확인, 불이행확인서를 징구했다.

두 병원의 사직 전공의는 각각 168명·99명, 업무개시명령 대상자는 125명·90명이다.

실제 근무 중인 전공의를 제외하고 불이행확인서가 발부된 수치는 병원 측이 공개하지 않고 있다.

이날은 대전시도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함께 을지대병원, 대전성모병원, 대전선병원 등 3개 수련병원을 점검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상위 50개 병원은 전날 복지부에서 점검을 벌였고, 오늘은 인력 지원 요청에 따라 현장에 함께 나가 진료 공백 상황을 점검하고 채증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돌아온 전공의 '2명'…대전 미복귀 전공의에도 불이행확인서
대전 5개 주요 대학·종합병원에 사직서를 낸 전공의 414명 중 346명에게 업무개시명령이 내려졌지만 지난달 26일 대전성모병원에 복귀한 1명을 제외하고 현재까지 복귀자는 없다.

천안지역 대형병원(단국대·순천향대병원)도 지난달 말 순천향대 병원 복귀자 1명을 제외하고는 추가 복귀자는 없는 상태다.

전날부터 대전 5개 주요 대학·종합병원에서 근무할 예정이었던 인턴 전원(147명), 충남 천안 지역 대형병원인 순천향대·단국대학병원 인턴 예정자 68명 중 64명이 임용을 포기함에 따라 의료공백도 심화하고 있다.

충남대병원의 수술실 가동률은 50% 수준이며, 순천향대병원·단국대병원도 수술 건수와 외래 진료 건수를 평소의 60% 수준으로 유지하며 비상 진료체계를 가동하고 있지만 역부족인 상황이다.

상급병원에서 중증·응급 질환자를 중심으로 병상을 가동하면서 2차 병원에는 환자들이 몰리고 있다.

대전선병원 관계자는 "심장내과 쪽 흉통이나 신경과 쪽 진료가 몰린다"며 "주로 요양병원에서 3차 병원으로 보내려다가 환자를 수용할 여건이 안 돼 오시는 경우가 많아 내원 환자가 평소보다 많이 붐빈다"고 말했다.

한편 대전 충남대와 건양대, 을지대를 비롯해 충남 천안 단국대와 순천향대 등 의과대학을 보유한 지역대학 대부분이 전날 교육부에 증원신청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증원 규모는 함구하고 있지만 순천향대를 제외하고 대부분 2배 이상 정원 규모를 늘려 신청한 것으로 파악된다.

지역 최대 규모 의과대학을 보유 중인 충남대(정원 110명)의 경우 1차 수요조사에서 300명 내외로 증원 방침을 밝힌 바 있어 학내 반발이 심한 상황이다.

충남대 의대와 충남대병원, 세종충남대병원 교수 371명으로 구성된 충남대병원 비대위는 전날 학무회의 결정을 앞두고 김기수 교학 부총장에게 의대 학생 정원 동결을 요청하는 의견서를 제출했다.

충남대병원 비대위 관계자는 "오늘 교육부에서 각 대학의 증원 신청 규모를 발표한다고 하니 우선 상황을 지켜보고 파악되는 대로 대응 방침을 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