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중앙의료원 인턴 대표 "보건의료 독재…돌아가지 않을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의대 증원해도 전공의 착취 구조는 악화할 것" 주장
정부가 전공의 집단사직 사태와 관련, 복귀 '마지노선'을 29일로 정하고 사법 절차까지 시사하며 전공의들을 압박하고 있지만 성모병원 인턴 대표는 복귀할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류옥하다 전 가톨링중앙의료원(CMC) 인턴 비대위원장은 28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이번 사태가 마무리돼도 저는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류옥하다 씨는 지난 16일 근무하던 대전성모병원에 사직서를 냈다.
충북 영동에서 자라 대전에서 의과대학을 졸업한 뒤 응급실에서 근무해왔고, 앞으로 필수 의료 분야에 종사할 생각이었지만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전업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그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돌아갈 마음이 있었지만, 지금은 생각이 바뀌었다"면서 "포도 가지치기·숨 따기·봉지씌우기도 잘하고 트랙터와 포크레인도 몰 줄 안다.
포도 농사를 지을 계획"이라고 전했다.
동료들이 어떤 상황인지에 대해서는 말을 아끼면서도 "회계사나 변호사 시험 준비를 하는 친구들도 있고, 뮤지션이 꿈이어서 드럼 학원에 등록한 친구들도 있다"며 "이번 사태가 오히려 저희를 눈뜨게 했다.
전공의라는 '노예'에서 벗어나게 해줬다"고 비꼬기도 했다.
의사 수가 늘어나면 전공의들의 수련환경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사실과 다르다며 반박했다.
그는 "'빅5' 병원 입장에서는 100시간 이상 굴리고 한 달에 200만∼400만원만 주면 되는 싼 의사를 두 배로 쓰려고 할 것"이라면서 "메이오 클리닉이나 일본 병원 등의 전공의 비율은 10%대에 불과한데 우리나라는 서울대병원의 경우 46%가 전공의"라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전공의들의 피와 땀으로 선진 의료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의대를 증원하면 지금의 전공의 착취 구조는 더 악화할 것"이라면서 "대학병원들이 수도권에 6천600병상을 더 늘릴 예정이고, 거기에 사용할 노예가 필요해서 증원하고 있는 것"이라고 역설했다.
그는 "저도 어제 감기로 병원에 가서 주사 맞고 약도 많이 탔는데 6천400원밖에 안 나왔다.
대기시간은 3분에 불과했다"면서 "전공의가 30∼40% 빠졌는데도 잘 굴러가고 있지 않느냐. 저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증원을 논할 게 아니라 오히려 300∼2천명 더 줄여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필수 의료 기피 해결을 위해 정부가 의료사고에 대한 공소를 제한하는 '의료사고처리특례법안'을 내놓은 데 대해서는 "발의만 됐을 뿐 구체적인 일정도 나오지 않았다"며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어 "루푸스병·아토피 환자의 흉터 치료나 칼부림 사고 수술 등 성형·정형외과도 필수 의료에서 제외돼 있고, 사망사고에 대해서도 형사처벌 '면제'가 아닌 '감면'일 뿐이어서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전공의 집단 이탈로 대학·종합병원에서 진료 차질이 빚어지는 것과 관련해 "정부가 기준으로 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에서는 원래 암 진단에서 치료받기까지 6개월에서 2년 가까이 걸린다"면서 "원래 병원은 전문의 중심으로 돌아가야 하는 것"이라고 일축했다.
끝으로 "정부가 전공의들에게 지속해 모멸감을 주고 보건의료 독재를 하며 짓밟고 있다"면서 "더 이상 사명감을 가질 수가 없는데, 이 일을 어떻게 계속하겠느냐"고 토로했다.
의료계에 따르면 전날까지 5개 대전지역 주요 대학·종합병원 전공의 506명 중 84.2%(426명)가 사직서를 냈다.
이들 5개 병원에는 시내 전체 전공의(527명)의 96%가 근무하고 있다.
이 가운데 근무지를 이탈한 349명에게 업무개시명령이 내려졌지만, 현재까지 대부분 복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류옥하다 전 가톨링중앙의료원(CMC) 인턴 비대위원장은 28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이번 사태가 마무리돼도 저는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류옥하다 씨는 지난 16일 근무하던 대전성모병원에 사직서를 냈다.
충북 영동에서 자라 대전에서 의과대학을 졸업한 뒤 응급실에서 근무해왔고, 앞으로 필수 의료 분야에 종사할 생각이었지만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전업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그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돌아갈 마음이 있었지만, 지금은 생각이 바뀌었다"면서 "포도 가지치기·숨 따기·봉지씌우기도 잘하고 트랙터와 포크레인도 몰 줄 안다.
포도 농사를 지을 계획"이라고 전했다.
동료들이 어떤 상황인지에 대해서는 말을 아끼면서도 "회계사나 변호사 시험 준비를 하는 친구들도 있고, 뮤지션이 꿈이어서 드럼 학원에 등록한 친구들도 있다"며 "이번 사태가 오히려 저희를 눈뜨게 했다.
전공의라는 '노예'에서 벗어나게 해줬다"고 비꼬기도 했다.
의사 수가 늘어나면 전공의들의 수련환경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사실과 다르다며 반박했다.
그는 "'빅5' 병원 입장에서는 100시간 이상 굴리고 한 달에 200만∼400만원만 주면 되는 싼 의사를 두 배로 쓰려고 할 것"이라면서 "메이오 클리닉이나 일본 병원 등의 전공의 비율은 10%대에 불과한데 우리나라는 서울대병원의 경우 46%가 전공의"라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전공의들의 피와 땀으로 선진 의료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의대를 증원하면 지금의 전공의 착취 구조는 더 악화할 것"이라면서 "대학병원들이 수도권에 6천600병상을 더 늘릴 예정이고, 거기에 사용할 노예가 필요해서 증원하고 있는 것"이라고 역설했다.
그는 "저도 어제 감기로 병원에 가서 주사 맞고 약도 많이 탔는데 6천400원밖에 안 나왔다.
대기시간은 3분에 불과했다"면서 "전공의가 30∼40% 빠졌는데도 잘 굴러가고 있지 않느냐. 저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증원을 논할 게 아니라 오히려 300∼2천명 더 줄여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필수 의료 기피 해결을 위해 정부가 의료사고에 대한 공소를 제한하는 '의료사고처리특례법안'을 내놓은 데 대해서는 "발의만 됐을 뿐 구체적인 일정도 나오지 않았다"며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어 "루푸스병·아토피 환자의 흉터 치료나 칼부림 사고 수술 등 성형·정형외과도 필수 의료에서 제외돼 있고, 사망사고에 대해서도 형사처벌 '면제'가 아닌 '감면'일 뿐이어서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전공의 집단 이탈로 대학·종합병원에서 진료 차질이 빚어지는 것과 관련해 "정부가 기준으로 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에서는 원래 암 진단에서 치료받기까지 6개월에서 2년 가까이 걸린다"면서 "원래 병원은 전문의 중심으로 돌아가야 하는 것"이라고 일축했다.
끝으로 "정부가 전공의들에게 지속해 모멸감을 주고 보건의료 독재를 하며 짓밟고 있다"면서 "더 이상 사명감을 가질 수가 없는데, 이 일을 어떻게 계속하겠느냐"고 토로했다.
의료계에 따르면 전날까지 5개 대전지역 주요 대학·종합병원 전공의 506명 중 84.2%(426명)가 사직서를 냈다.
이들 5개 병원에는 시내 전체 전공의(527명)의 96%가 근무하고 있다.
이 가운데 근무지를 이탈한 349명에게 업무개시명령이 내려졌지만, 현재까지 대부분 복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