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치안산업 육성 위해 과학기술 전문가와 협의회 구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치안산업 국가통계화·산업진흥 기본법 제정 등 추진
경찰청은 23일 치안산업 진흥 정책의 심도 있는 논의를 위한 '치안산업진흥 협의회'를 구성하고 첫 회의를 열었다.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경찰청사에서 열린 이날 회의에는 윤희근 경찰청장 주재로 관련 전문가 등 약 30명이 참석했다.
협의회 구성은 경찰·학계·연구기관이 치안산업 진흥 정책을 함께 논의하고 상호 교류할 기회를 마련하고자 추진됐다.
산업통상자원R&D전략기획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중소기업중앙회, 동국대, 숭실대 등 산업 및 과학기술 분야 공공기관·학계·기업 등의 전문가 24명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공동 위원장은 최주원 경찰청 미래치안정책국장과 김영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이 맡았다.
협의회는 치안산업 진흥 기반 조성, 기술촉진, 판로 개척 등 3개 분과로 나뉘며 제도·정책·연구개발·인증·박람회·창업 총 6개 소그룹 회의를 운영한다.
전체회의는 분기별 1회 개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중요 현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경우 수시 회의도 열 예정이다.
분과 회의와 소그룹 회의는 수시로 개최해 분야별 전문가 중심으로 집중 토론을 진행한다.
협의회는 이날 회의에서 치안산업 분류체계와 치안산업 시장·인력 규모 등을 파악하기 위해 작년 6∼12월 실시한 '치안산업 실태조사(예비조사)' 결과를 공유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치안산업 관련 기업은 총 1만412곳이 있고 시장 규모는 24조6천억원으로 추산됐다.
업종별 비중은 제조업이 8조5천억원(34.3%)으로 가장 크고 치안 시스템 개발·관리 및 정보서비스업 6조6천억원(26.8%), 경비·경호 및 조사 서비스업 4조5천억원(18.2%), 치안 건축·시설 운영업 4조3천억원(17.3%) 등 순이다.
관련 인력 규모는 총 126만7천명이며 경찰 인력(14만명)을 제외하면 민간시장 인력 규모는 112만명(88.4%) 수준이다.
협의회는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치안산업 특수분류체계(안)를 마련해 국가통계 및 산업 특수분류체계 반영을 추진하기로 했다.
특수산업분류는 특정 산업 분야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해 '표준산업분류'에서 해당 산업 활동을 별도로 재분류한 것이다.
산업 규모와 경제적 파급효과 등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맞춤형 정책 개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조사를 정기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기획재정부와 협업해 관련 예산(약 2억원) 확보도 추진한다.
이밖에 치안산업 진흥을 위한 기본법 제정, 혁신제품 지정지침 운영, 국제치안산업대전 확대 및 국내외 판로확보 등 치안산업 진흥을 위한 중장기 발전방안에 관한 논의도 회의에서 이뤄졌다.
윤 청장은 "첨단 과학기술에 수반한 새로운 유형의 범죄와 위험, 저출산·고령화 등 사회구조 변화 속에서 기존 인력 중심의 경찰 활동만으로는 현재의 경찰 역량을 유지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협의회 논의 사항을 정책에 적극적으로 반영해 치안산업을 육성하고 이를 통해 국민의 평온한 일상이 더욱 두텁게 확보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경찰청사에서 열린 이날 회의에는 윤희근 경찰청장 주재로 관련 전문가 등 약 30명이 참석했다.
협의회 구성은 경찰·학계·연구기관이 치안산업 진흥 정책을 함께 논의하고 상호 교류할 기회를 마련하고자 추진됐다.
산업통상자원R&D전략기획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중소기업중앙회, 동국대, 숭실대 등 산업 및 과학기술 분야 공공기관·학계·기업 등의 전문가 24명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공동 위원장은 최주원 경찰청 미래치안정책국장과 김영신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이 맡았다.
협의회는 치안산업 진흥 기반 조성, 기술촉진, 판로 개척 등 3개 분과로 나뉘며 제도·정책·연구개발·인증·박람회·창업 총 6개 소그룹 회의를 운영한다.
전체회의는 분기별 1회 개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중요 현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경우 수시 회의도 열 예정이다.
분과 회의와 소그룹 회의는 수시로 개최해 분야별 전문가 중심으로 집중 토론을 진행한다.
협의회는 이날 회의에서 치안산업 분류체계와 치안산업 시장·인력 규모 등을 파악하기 위해 작년 6∼12월 실시한 '치안산업 실태조사(예비조사)' 결과를 공유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치안산업 관련 기업은 총 1만412곳이 있고 시장 규모는 24조6천억원으로 추산됐다.
업종별 비중은 제조업이 8조5천억원(34.3%)으로 가장 크고 치안 시스템 개발·관리 및 정보서비스업 6조6천억원(26.8%), 경비·경호 및 조사 서비스업 4조5천억원(18.2%), 치안 건축·시설 운영업 4조3천억원(17.3%) 등 순이다.
관련 인력 규모는 총 126만7천명이며 경찰 인력(14만명)을 제외하면 민간시장 인력 규모는 112만명(88.4%) 수준이다.
협의회는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치안산업 특수분류체계(안)를 마련해 국가통계 및 산업 특수분류체계 반영을 추진하기로 했다.
특수산업분류는 특정 산업 분야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해 '표준산업분류'에서 해당 산업 활동을 별도로 재분류한 것이다.
산업 규모와 경제적 파급효과 등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맞춤형 정책 개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조사를 정기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기획재정부와 협업해 관련 예산(약 2억원) 확보도 추진한다.
이밖에 치안산업 진흥을 위한 기본법 제정, 혁신제품 지정지침 운영, 국제치안산업대전 확대 및 국내외 판로확보 등 치안산업 진흥을 위한 중장기 발전방안에 관한 논의도 회의에서 이뤄졌다.
윤 청장은 "첨단 과학기술에 수반한 새로운 유형의 범죄와 위험, 저출산·고령화 등 사회구조 변화 속에서 기존 인력 중심의 경찰 활동만으로는 현재의 경찰 역량을 유지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협의회 논의 사항을 정책에 적극적으로 반영해 치안산업을 육성하고 이를 통해 국민의 평온한 일상이 더욱 두텁게 확보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