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도 동참 규모 늘어…지역 의대도 집단 휴학계 제출 예고
충남 대형병원 전공의들도 집단 사직…의료 공백 가시화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한 충남지역 대학병원 전공의들도 20일 집단 사직서 제출 행렬에 동참하면서 의료 공백이 가시화하고 있다.

순천향대 천안병원에 따르면 이 병원에 근무하는 레지던트 91명 중 68명(부천 순천향대병원 파견 1명 포함), 인턴 29명 중 27명 등 전공의 95명이 사직서를 제출하고 이날 오전부터 진료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병원 측은 교수 중심 비상 진료체계를 가동해 아직 진료 차질은 없는 상태다.

병원 관계자는 "현재 외래진료 예약인원이 평소 수준인 3천명에 가깝고, 수술실과 중환자실, 응급실도 정상 가동 중"이라며 "하지만 전공의 파업 상황이 계속되면 아무래도 진료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여 걱정스럽다"고 밝혔다.

천안 단국대병원도 전공의 136명 중 102명이 사직서를 냈다.

단국대병원 관계자는 "현재 외래 진료는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있고, 입원 환자 수에도 큰 변동은 없다"며 "일부 진료과에서 입원이나 외래진료가 늦어질 수 있다는 내용의 안내 문자를 발송하고 있다"고 말했다.

충남지역에는 천안에 대형 대학병원 2곳이 있으며, 전공의 256명이 근무하고 있다.

대전지역 종합병원들도 전공의들의 사직서 제출 규모가 늘고 있다.

건양대병원에서는 전날부터 '개별 사직' 형태로 전공의들이 사직서를 내는 가운데 이날 오전 9시 기준 99명이 사직서를 제출했다.

이 병원 전공의는 총 122명으로 전체 의사(308명)의 39.6%에 달한다.

지난 16일 가장 먼저 인턴들이 집단 사직서를 제출했던 대전성모병원에서도 인턴 21명 전원과 레지던트 28명(전체 48명) 등 전공의 49명이 사직서를 낸 뒤 출근하지 않고 있다.

이 가운데 16명은 사직서를 내고도 환자 처치·차트 작성 등 업무를 정상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밖에 대전을지대병원, 선병원 등 대전지역 다른 종합병원에서도 전공의들의 사직서 제출이 잇따르고 있다.

충남 대형병원 전공의들도 집단 사직…의료 공백 가시화
충남대병원에 입원 중인 오재영(59) 씨는 "지난 주말 복통 증세로 성모병원에 계속 전화했는데도 연락받지 않아 직접 찾아갔다.

그랬더니 수술할 의사가 없다고 해 결국 아픈 배를 부여잡고 무작정 충남대병원으로 온 것"이라면서 "담석 제거 수술을 받았는데, 만약 미세한 부위에 담석이 있었을 경우 장기 손상의 우려가 있다고 한다.

응급 상황일 경우 더 위험할 수 있었던 것 아니냐"고 말했다.

그는 "의사, 정부 중에 누가 잘못했는지 저는 잘 모르겠으나 최소한 환자는 봐야 하는 것 아니냐"며 분통을 터뜨렸다.

충남대병원에서도 전날부터 전공의들이 개별적으로 사직서를 제출하고 있으나 정확한 규모는 아직 집계되지 않았다.

이 병원에는 인턴 60명, 레지던트 157명 등 217명의 전공의가 근무하고 있어 집단 사직 시 의료 서비스 공급에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지역 의대들도 이날 전국적으로 동맹 휴학을 예고해 혼란이 예상된다.

충남대 의대는 의학과 1∼4학년 학생들이 전날 수업을 거부한 데 이어 이날 오후에 집단 휴학계를 제출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건양대 관계자는 "26일부터 등록금 납부가 시작되기 때문에 그 후에나 휴학 신청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