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 10명인데 30명 방문"…적자에 '고육책' 택한 은행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강남 점포까지 문닫는 은행
내점객이 가장 많은 농협銀조차
비대면 상품 판매 비중 60% 돌파
하나銀 신용대출 95%가 비대면
"저수익 점포 마냥 유지할 수 없어"
"금융 접근성 보장해야" 지적에
당국 "점포 폐쇄 속도 조절하라"
내점객이 가장 많은 농협銀조차
비대면 상품 판매 비중 60% 돌파
하나銀 신용대출 95%가 비대면
"저수익 점포 마냥 유지할 수 없어"
"금융 접근성 보장해야" 지적에
당국 "점포 폐쇄 속도 조절하라"
“한때 매일 북적이던 수도권 점포마저 이제 파리만 날리는 곳이 수두룩합니다. 직원이 10명인데 하루에 찾아오는 고객이 30명밖에 안 되는 지점도 있어요. 그런데도 금융당국은 무조건 점포 수를 유지하라고 하니 답답합니다.” 한 시중은행 부행장의 토로다. 수년간 점포 통폐합을 추진해왔지만 비대면 거래가 가파르게 늘면서 저수익 점포마다 상황이 더 악화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렇다고 마음대로 점포 수를 확 줄일 수는 없는 처지다. 금융 접근성 확보를 위해 점포 폐쇄를 자제해야 한다는 금융당국과 정치권의 압박이 거세기 때문이다.
농협은행 역시 올 들어 서울 경동시장지점을 없애고 청량리지점과 합쳐 청량리금융센터로 통합했다. 같은 시기 통폐합된 지점만 모두 다섯 곳이다. 신한은행 역시 같은 기간 수도권 점포 네 곳(가락동, 구로역, 부천춘의, 부평)을 없앴다.
국민은행은 작년 4월 24개 점포를 한꺼번에 닫았다. 당국의 압박이 예상됐지만 어쩔 수 없이 꺼내든 고육지책이었다. ‘영업점 감축을 자제하라’는 정부의 엄포에도 작년 초부터 3분기까지 문을 닫은 5대 시중은행 점포(출장소 포함)만 257개에 달한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일부 지방 점포의 경우 아직도 창구 벨이 종일 울리는 곳이 있지만, 고객의 발길이 끊겨 한가한 점포가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은행들이 점포 축소에 나서면서 지역 주민이나 정치인의 반발에 부닥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 때문에 은행들은 점포 통폐합 전 의견 청취 기간을 두는 등 대책을 내놓고 있다. 하나은행은 일부 출장소를 리모델링해 중·장년층을 위한 ‘시니어 특화 점포’로 바꿨다.
은행의 수익성 못지않게 금융서비스의 접근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지역마다 고령층과 취약계층이 이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은행 점포가 필요하다는 취지에서다. 금융당국이 은행권의 점포 폐쇄를 막기 위해 ‘은행 점포 폐쇄 내실화 방안’을 마련해 직간접적 압박을 지속해온 이유다. 금융당국은 은행 점포 폐쇄 전 사전영향평가를 강화하고, 폐쇄 시 공동 점포 등 대체 수단을 의무적으로 마련하도록 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020년 이후 600개에 가까운 은행 점포가 사라졌다”며 “어려운 시기에 노인 등 소외계층의 금융 접근성을 제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
고민에 빠진 은행권
올해 들어 손익분기점을 넘기지 못한 점포 폐쇄 사례가 줄을 잇고 있다. 잘나가는 서울 강남권 점포도 예외는 아니다. 우리은행은 다음달 총 11개 지점을 통폐합하기로 했다. 서울 강남역, 양재역, 남부터미널을 비롯해 논현중앙, 망원역, 분당구미, 부산 동백 등이 폐쇄 지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이들 지점은 인근 지점으로 흡수 통합된다.농협은행 역시 올 들어 서울 경동시장지점을 없애고 청량리지점과 합쳐 청량리금융센터로 통합했다. 같은 시기 통폐합된 지점만 모두 다섯 곳이다. 신한은행 역시 같은 기간 수도권 점포 네 곳(가락동, 구로역, 부천춘의, 부평)을 없앴다.
국민은행은 작년 4월 24개 점포를 한꺼번에 닫았다. 당국의 압박이 예상됐지만 어쩔 수 없이 꺼내든 고육지책이었다. ‘영업점 감축을 자제하라’는 정부의 엄포에도 작년 초부터 3분기까지 문을 닫은 5대 시중은행 점포(출장소 포함)만 257개에 달한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일부 지방 점포의 경우 아직도 창구 벨이 종일 울리는 곳이 있지만, 고객의 발길이 끊겨 한가한 점포가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당국 “금융서비스 접근성 보장해야”
은행들이 점포 폐쇄에 내몰리는 것은 비대면 거래 확산 속도가 예상보다 빠르기 때문이다. 국내 시중은행 중 현재 전국 지점 내점객이 가장 많은 농협은행조차 작년 말 기준 비대면 상품 판매 비중이 처음으로 60%를 넘어섰다. 하나은행은 지난해 전체 개인 신용대출 6만4461건 가운데 비대면 대출이 95.4%(6만1457건)에 달할 정도다.은행들이 점포 축소에 나서면서 지역 주민이나 정치인의 반발에 부닥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 때문에 은행들은 점포 통폐합 전 의견 청취 기간을 두는 등 대책을 내놓고 있다. 하나은행은 일부 출장소를 리모델링해 중·장년층을 위한 ‘시니어 특화 점포’로 바꿨다.
은행의 수익성 못지않게 금융서비스의 접근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지역마다 고령층과 취약계층이 이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은행 점포가 필요하다는 취지에서다. 금융당국이 은행권의 점포 폐쇄를 막기 위해 ‘은행 점포 폐쇄 내실화 방안’을 마련해 직간접적 압박을 지속해온 이유다. 금융당국은 은행 점포 폐쇄 전 사전영향평가를 강화하고, 폐쇄 시 공동 점포 등 대체 수단을 의무적으로 마련하도록 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020년 이후 600개에 가까운 은행 점포가 사라졌다”며 “어려운 시기에 노인 등 소외계층의 금융 접근성을 제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