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美바이오기업 파산신청 2010년 이후 최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높은 이자율, 얼어붙은 투심에 '옥석가리기'활발
임상 실패, 합병 등 자구안 실패 후 신청 잇따라
"올들어 조금씩 살아나" VS "작년과 비슷할 것"
임상 실패, 합병 등 자구안 실패 후 신청 잇따라
"올들어 조금씩 살아나" VS "작년과 비슷할 것"
금리 인상과 얼어붙은 투자 심리로 지난해 미국 바이오기업의 파산 신청(챕터11)이 2010년 이후 가장 많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바이오업계 관계자는 "파산도 많아진 반면 우량 바이오회사를 중심으로 올해부터 투심이 조금씩 살아나고 있다"며 "시장에서 옥석가리기가 확실하게 이뤄지고 있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S&P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2023년 미국 바이오기업 파산 신청은 18곳으로 전년(8곳)에 비해 두 배 이상 늘었다. 미국 의약전문지 피어스바이오텍 보도에 따르면 소렌토 테라퓨틱스가 업계 부호(billionaire)인 패트릭 순시옹 및 그의 면역치료 바이오기업 낸트셀과 법적 분쟁을 겪으며 파산을 신청했다. 소렌토는 미국 대형제약사 BMS의 아브락산과 경쟁할 복제약을 개발 중이었다. 이 역시 순시옹과 분쟁 대상이다.
항암제 개발회사 인피니티 파마슈티컬즈의 경우 MEI 파마와의 합병 실패가 경영난의 도화선이 됐다. 지난해 7월 인력 75%를 감축한 데 이어 9월 파산을 신청했다. 이 회사는 요로상피암, 고형암 등 다양한 적응증에 효능을 보인 임상 중간단계 파이프라인(신약후보물질) '에가넬리시브'의 임상을 지속하기위해 기사 회생을 모색해왔다. MEI파마 역시 초반엔 인수합병에 관심을 보였지만, 주주의 반대에 부딪혀 무산됐다.
지난해 6월 파산을 신청한 온코섹 메디칼은 파이프라인의 주요 임상에서 목표 응답률을 충족하지 못해 실패한 것이 위기로 이어졌다. 기존 치료제가 잘 듣지 않는 피부암(전이성 흑색종) 진행 환자들을 대상으로 머크의 키트루다와 함께 쓸 수 있는 파이프라인(인터루킨 12 인코딩 플라스미드)이었다. 이 회사는 200만달러의 대출금을 못갚은 후 파산을 신청했다.
올들어 미국 바이오기업 휴머니젠과 애더시스도 파산신청을 했다. 단일클론항체 전문 개발기업인 휴머니젠은 지난해 여름 역합병 논의가 무산된 후 파산을 검토해왔다. 코로나19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한 치료후보물질(항 인간 GM-CSF 단일클론항체)도 성과를 내지 못했다. 이 회사의 파산신청은 처음이 아니다. 2015년에도 다른 회사 이름(칼로바이오스)으로 파산 신청을 한 후 재기한 경험이 있다. 이 회사는 또다시 유동성 위기에 봉착했고 파산신청 직전 제약·바이오사업을 대거 매각했다. 한때 세계 10대 유망 코로나치료제로도 꼽혔던 렌질루맙 등 주요 파이프라인을 2000만달러에 매각했다. 줄기세포 치료제 회사인 애더시스도 허혈성 뇌졸중 세포치료제에 대한 실망스러운 임상 3상 데이터가 나오자, 자산을 매각하고 파산을 신청했다.
한편 구조조정 자문회사인 기빈스 어드바이저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은 헬스케어 분야에서 최근 5년래 가장 많은 파산신청이 발생했다. 병원, 의료기관, 제약, 의료 장비 공급, 실험실 서비스, 노인 간호 등 분야에서 부채가 1000만달러를 초과하는 파산신청이 79건에 달했다. 이는 2022년에 비해 1.7배 이상, 2021년의 3배 이상 규모다. 파산 신청 중 상당 부분(28건)은 부채가 1억 달러 이상이었다. 분야별로는 노인 간호(15건)와 제약(20건)이 대부분이었고 가장 급증한 분야는 병원이었다. 병원 파산 신청은 2021년 3건, 2022년 2건에서 2023년 12건으로 급증했다.
S&P는 "헬스케어 부문 파산 신청 건수가 전 업종 중 산업, 소비재 등에이어 3위를 기록하고 있다"며 "바이오기업의 파산 신청은 올들어 다소 줄었지만 여전히 높은 이자율과 어려운 노동 시장에 직면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기빈스는 "헬스케어 파산 신청이 지난해 4분기까지 6분기 연속 증가했다"며 "올해에도 작년과 비슷한 파산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
S&P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2023년 미국 바이오기업 파산 신청은 18곳으로 전년(8곳)에 비해 두 배 이상 늘었다. 미국 의약전문지 피어스바이오텍 보도에 따르면 소렌토 테라퓨틱스가 업계 부호(billionaire)인 패트릭 순시옹 및 그의 면역치료 바이오기업 낸트셀과 법적 분쟁을 겪으며 파산을 신청했다. 소렌토는 미국 대형제약사 BMS의 아브락산과 경쟁할 복제약을 개발 중이었다. 이 역시 순시옹과 분쟁 대상이다.
항암제 개발회사 인피니티 파마슈티컬즈의 경우 MEI 파마와의 합병 실패가 경영난의 도화선이 됐다. 지난해 7월 인력 75%를 감축한 데 이어 9월 파산을 신청했다. 이 회사는 요로상피암, 고형암 등 다양한 적응증에 효능을 보인 임상 중간단계 파이프라인(신약후보물질) '에가넬리시브'의 임상을 지속하기위해 기사 회생을 모색해왔다. MEI파마 역시 초반엔 인수합병에 관심을 보였지만, 주주의 반대에 부딪혀 무산됐다.
지난해 6월 파산을 신청한 온코섹 메디칼은 파이프라인의 주요 임상에서 목표 응답률을 충족하지 못해 실패한 것이 위기로 이어졌다. 기존 치료제가 잘 듣지 않는 피부암(전이성 흑색종) 진행 환자들을 대상으로 머크의 키트루다와 함께 쓸 수 있는 파이프라인(인터루킨 12 인코딩 플라스미드)이었다. 이 회사는 200만달러의 대출금을 못갚은 후 파산을 신청했다.
올들어 미국 바이오기업 휴머니젠과 애더시스도 파산신청을 했다. 단일클론항체 전문 개발기업인 휴머니젠은 지난해 여름 역합병 논의가 무산된 후 파산을 검토해왔다. 코로나19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한 치료후보물질(항 인간 GM-CSF 단일클론항체)도 성과를 내지 못했다. 이 회사의 파산신청은 처음이 아니다. 2015년에도 다른 회사 이름(칼로바이오스)으로 파산 신청을 한 후 재기한 경험이 있다. 이 회사는 또다시 유동성 위기에 봉착했고 파산신청 직전 제약·바이오사업을 대거 매각했다. 한때 세계 10대 유망 코로나치료제로도 꼽혔던 렌질루맙 등 주요 파이프라인을 2000만달러에 매각했다. 줄기세포 치료제 회사인 애더시스도 허혈성 뇌졸중 세포치료제에 대한 실망스러운 임상 3상 데이터가 나오자, 자산을 매각하고 파산을 신청했다.
한편 구조조정 자문회사인 기빈스 어드바이저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은 헬스케어 분야에서 최근 5년래 가장 많은 파산신청이 발생했다. 병원, 의료기관, 제약, 의료 장비 공급, 실험실 서비스, 노인 간호 등 분야에서 부채가 1000만달러를 초과하는 파산신청이 79건에 달했다. 이는 2022년에 비해 1.7배 이상, 2021년의 3배 이상 규모다. 파산 신청 중 상당 부분(28건)은 부채가 1억 달러 이상이었다. 분야별로는 노인 간호(15건)와 제약(20건)이 대부분이었고 가장 급증한 분야는 병원이었다. 병원 파산 신청은 2021년 3건, 2022년 2건에서 2023년 12건으로 급증했다.
S&P는 "헬스케어 부문 파산 신청 건수가 전 업종 중 산업, 소비재 등에이어 3위를 기록하고 있다"며 "바이오기업의 파산 신청은 올들어 다소 줄었지만 여전히 높은 이자율과 어려운 노동 시장에 직면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기빈스는 "헬스케어 파산 신청이 지난해 4분기까지 6분기 연속 증가했다"며 "올해에도 작년과 비슷한 파산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