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경사령관 故 장태완 장군 회고록 재출간…"소수 반란주도자 호국영령 더럽혀"
'12·12 쿠데타와 나'·'그래도 봄은 오는데' 등 12·12 관련서 잇달아
일장춘몽 '서울의 봄'…군사반란 후 부친도 아들도 잃었다
12·12 군사반란을 다룬 영화 '서울의 봄'이 작년 최고 흥행작으로 떠오른 가운데 영화 내용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회고록과 에세이가 잇달아 재출간돼 눈길을 끈다.

'12.12 쿠데타와 나'(이콘)는 반란을 주도한 전두환 전 장군과 대립각을 세운 고(故) 장태완(1931~2010) 수경사령관의 회고록이다.

영화 '서울의 봄'에선 배우 정우성이 장태완 장군을 모델로 한 이태신 역을 맡았다.

일장춘몽 '서울의 봄'…군사반란 후 부친도 아들도 잃었다
"불충자 유구무언(不忠者 有口無言)의 속죄하는 마음으로 나는 지난 세월을 침묵으로 일관해왔다"는 문장으로 책은 시작한다.

저자는 "전 장교의 0.05%도 안 되는 소수의 12·12 군사반란 주모자 및 주동자들은 조국 수호와 민주 발전을 위하여 거룩하게 산화한 수많은 호국 영령의 명예를 더럽혔다"고 강력히 비판한다.

책은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0년 12월 소위로 임관한 저자의 군 생활부터 시작해 박정희 대통령의 비호 아래 커 나간 군부 내 사조직 '하나회', 10·26 사태와 12·12 군사반란을 조명한다.

일장춘몽 '서울의 봄'…군사반란 후 부친도 아들도 잃었다
또한 전두환이 주도한 군사 반란이 성공한 후 저자에게 들이닥친 가혹한 운명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장 장군의 부친은 아들이 쿠데타 세력을 막는 데 실패하자 "예부터 역모자들의 손에서 살아남을 수 없는 게 우리의 역사다.

내가 자식보다 먼저 떠나야 한다"라고 말하며 문을 걸어 잠근 채 식사를 끊고, 막걸리만 마시다 세상을 떠났다.

1982년 1월, 서울대 자연대학에 다니던 장 장군의 아들도 집을 나선 지 약 한 달 만에 싸늘한 주검이 되어 돌아왔다.

"아버지 다녀오겠습니다"가 그가 아들에게 들은 마지막 말이었다.

"나는 얼어붙은 아들의 얼굴에다 내 얼굴을 비비대면서 흐르는 눈물로 씻겨 주었고, 입으로는 아들의 눈부터 빨아 녹였다.

"
저자는 "군사 반란과 같은 불행한 역사가 되풀이되지 않게 하는 것을 지난 세월 단 한 번도 잊어본 적이 없었다"고 말한다.

책은 1993년 출간됐다가 절판된 후 교열작업을 거쳐 이번에 복간됐다.

일장춘몽 '서울의 봄'…군사반란 후 부친도 아들도 잃었다
고 백영옥(1948~1991) 씨가 쓴 '그래도 봄은 오는데'(밥북)도 재출간됐다.

백씨는 군사 반란 당시 반란군을 막다가 숨진 김오랑 중령의 아내다.

영화 '서울의 봄'에선 배우 정해인이 김오랑을 모델로 한 오진호 소령 역할을 맡아 연기했다.

남편의 급작스러운 죽음으로 실명해 글을 쓸 수 없었던 저자는 카세트테이프 20개에 달하는 분량으로 구술했고, 이를 출판사 편집자들이 기록·편집해 1988년 책으로 펴냈다.

그러나 12·12 반란과 그에 맞선 김오랑의 죽음을 은폐하고 싶었던 노태우 정권은 책 배포를 막았다.

책은 영화 덕에 30여년 만에 다시 빛을 보게 됐다.

책에는 김오랑 중령과의 만남과 사랑, 12·12 당시의 상황 등이 상세히 담겼다.

아울러 남편 죽음 이후에 찾아온 실명과 고통, 그리고 그 과정을 극복하는 내용도 수록됐다.

"아무리 겨울이 길다기로 오는 봄을 막을 수 있을까? 연일 봄이 올 듯하면서 주춤대는 가운데서도 겨울은 그 기세가 꺾이고, 뜨거운 예감으로 봄이 문턱에까지 와 있음을 느낀다.

"
일장춘몽 '서울의 봄'…군사반란 후 부친도 아들도 잃었다
앞서 '김오랑 중령 추모회'를 이끄는 김준철 씨가 쓴 '역사의 하늘에 뜬 별 김오랑'(더프레스), 소설가 박상하 씨가 쓴 '80 서울의 봄'(여산서숙), 정치·외교학자 홍인호 씨가 쓴 '아! 서울의 봄'(여산서숙)도 영화가 히트하자 작년 말 출간된 바 있다.

'서울의 봄'이란 박정희의 유신정권이 무너진 후 5·18 민주화운동 전까지, 민주화 열망이 뜨거웠던 한때를 일컫는다.

1968년 민주화운동이 거세게 일다가 탱크를 앞세운 소련군의 진압에 좌초됐던 체코 '프라하의 봄'을 빗댄 말이다.

일장춘몽 '서울의 봄'…군사반란 후 부친도 아들도 잃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