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극초음속 미사일' 주장…사실일 경우 최종단계 추적 어려움
北 핵·미사일 고도화 상황에 맞는 한미일 대응체제 구축해야
한미일 정보 공유에도 지닌달 北미사일 추적 실패…배경은
지난달 14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당시 한국과 미국, 일본이 처음으로 관련 정보를 공유했지만 미사일을 끝까지 추적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나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일본의 요미우리신문의 4일 보도에 따르면 일본은 3국간 정보공유를 통해 북한 미사일을 종전보다 빨리 포착하는데는 성공했다.

하지만 끝까지 추적하지 못했고, 미사일은 레이더에서 소실됐다.

북한은 당시 발사한 미사일의 실제와 관련해 '극초음속 미사일'이라고 주장했고, 이에 대해 합동참모본부는 "사거리 3천∼5천500㎞ 중거리급(IRBM) 미사일로 약 1천㎞ 비행 이후 동해 상에 떨어졌다"고 밝혔다.

이번 사례는 지난해 12월19일 3국이 가동한 실시간 정보공유 체제를 테스트한 결과가 됐다.

한국 국방부는 당시 "북한 미사일 경보정보 실시간 공유체계는 최근 실시한 사전점검 결과를 통해 완전운용 능력이 검증됐다"고 밝혔다.
한미일 정보 공유에도 지닌달 北미사일 추적 실패…배경은
국방부의 발표에 따르면 한미일 3국은 북한 미사일의 발사 추정 지점과 비행 궤적, 예상 탄착 지점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다.

이는 갈수록 고도화되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해 대북 정보감시정찰(ISR) 능력을 강화한 것으로 풀이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들어 첫 북한의 미사일 도발에서는 3국의 정보공유가 완벽하지 못했다는 것이 드러난 셈이다.

일본 언론 보도를 보면 북한이 발사한 탄도미사일을 가장 먼저 탐지해 일본에 전달한 것은 미국이었다.

미군의 조기경계 위성이 발사 사실을 탐지했고, 한국군의 레이더는 상승하는 미사일을 포착했다.

일본 자위대는 추적을 개시했고, 한국군에도 그 내용을 제공했다.

그런데 한국과 일본이 발표한 미사일 비행거리가 다소 차이가 있었다.

한국의 발표(1천㎞ 비행)와 달리 일본 방위성은 최소 500㎞ 비행한 것으로 보인다고 발표했다.
한미일 정보 공유에도 지닌달 北미사일 추적 실패…배경은
전문가들은 북한 발표대로 극초음속 미사일일 경우 추적이 어려워 최종단계에서 레이더에서 소실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결국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은 갈수록 고도화·첨단화되고 있으며, 이를 억제할 한미일 3국의 대응도 그에 맞춰 더욱 촘촘해져야 한다는 것을 이번 사례가 잘 말해주는 셈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