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ty Image Bank
Getty Image Bank
금융시장은 연초부터 혼돈의 연속이다. 미국이 지난해 4분기 예상치를 뛰어넘는 3.3%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늦춰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미국 경제가 탄탄해 기준 금리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어서다. 3월로 예측했던 금리 인하 시점이 하반기로 밀리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제기된다. 작년 말 1280원대까지 내려간 원·달러 환율도 올 들어 1340원대까지 오르는 등 변동성도 커지고 있다.하지만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시장금리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은행권 예·적금 금리(1년 만기)는 연 3% 중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금리 하락 전망 속에 변동형 주택담보대출과 고정형(혼합형) 주담대를 놓고 금융 소비자들의 고민도 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온라인 플랫폼에서 주담대를 갈아타고 보험까지 비교할 수 있는 서비스가 출시돼 소비자들의 선택권도 넓어졌다.

○예금 막차수요 돈 몰려

예금금리 하락에도 새해 들어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등 4대 은행 정기예금에는 10조원 넘는 자금이 몰렸다. 금리가 더 떨어지기 전에 ‘막차’를 타려는 수요가 늘어나면서다. 주식과 비트코인, 부동산 등 자산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진 점도 이유로 꼽힌다. 지난해 11월까지 연 4%를 웃돌던 은행 정기예금 금리는 연 3% 중반으로 하락했다. 은행 예금금리에 영향을 미치는 1년 만기 은행채(AAA) 금리가 시장금리 하락 기대감으로 연 3.6% 수준까지 떨어진 점이 영향을 미쳤다. 한 시중은행 프라이빗뱅커(PB)는 “연초부터 주식시장이 약세를 보이는 데다 향후 금리가 더 떨어질 것으로 본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에 몰리고 있다”고 전했다. 정기예금 금리는 하락하고 있지만 새해를 맞아 은행들은 연 5~7% 고금리 정기적금 특판 상품을 내놓고 있다.

○변동금리 내림세 이어져

고정형(혼합형) 주담대 금리 인하가 주춤한 가운데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인하 효과로 변동형 주담대 금리는 떨어지고 있다.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은행의 주담대 고정금리 하단은 연 3.4% 수준에 형성됐다. 연초에 비해 금리 하단이 0.1%포인트 가량 올랐다. 미국의 ‘3월 금리 인하론’이 물 건너 간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면서다.

반면 변동형 주담대 금리 하단은 연 3.9% 수준으로 연초보다 0.2%포인트 안팎 내렸다. 지난달 신규 취급액 코픽스가 11월보다 0.16%포인트 하락한 3.84%를 기록하면서 주담대 변동금리를 끌어내렸다. 5년 동안 금리가 묶이는 고정형 주담대 금리가 여전히 변동형보다 낮지만 향후 기준금리 하락이 본격화하면 6개월마다 금리가 조정되는 변동형 금리가 더 저렴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오는 26일부터 적용되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도 따져봐야 한다. 스트레스 DSR 제도는 고정금리형보다 변동금리형의 대출 한도를 더 크게 제한한다. 전문가들은 올해 기준금리 인하가 시작되더라도 변동형 주담대 금리 하락폭이 제한적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한·미 기준금리가 역전된 상태에서 한국이 미국처럼 기준금리를 빠르게 인하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주담대 환승·차보험 비교도

온라인에서 주담대를 쉽게 갈아타고 플랫폼 앱에서 자동차보험료도 한 눈에 비교하고 가입할 수 있게 됐다. ‘온라인·원스톱 대환대출 인프라’에 아파트 주담대가 포함된 지난달 9일 이후 5대 은행에서만 주담대 갈아타기 신청 금액이 2조원을 넘어섰다. 은행들이 낮은 금리로 시장 공략에 나서면서 5대 은행의 주담대 대환 금리(혼합형 기준)는 연 3%대 중반 수준까지 떨어졌다. 은행들이 제시한 금리는 혼합형 주담대 금리의 기준이 되는 은행채(무보증 AAA 기준) 5년물 금리와 비교해서도 낮은 편이다. 원가보다 낮은 금리로 주담대를 내주는 셈이어서 금융 소비자들의 반응도 뜨겁다.

네이버페이와 카카오페이, 토스 등 11개 핀테크 플랫폼 앱 등에선 지난달 19일부터 10개 손해보험사의 자동차보험료를 비교할 수 있다. 그동안 소비자들은 보험을 비교하기 위해 여러 보험사의 사이트에 방문해야 했다. 비교·추천 서비스가 시작되면서 이런 불편이 줄어들게 됐다. 자동차보험을 갱신할 때가 됐다면 보험료를 아낄 수 있는지 살펴보는 게 좋다. 플랫폼 앱을 켜고 ‘전체’ 메뉴를 누른 뒤 ‘자동차보험 비교’에 들어가면 보험료 비교가 가능하다. 본인 인증 절차를 거친 다음 자동차 등록번호와 예상 주행거리, 대물배상 한도 등을 입력하면 보험사별 연간 예상 보험료가 뜬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