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 논의한 의료현안협의체 회의에 교육부·의대학생협회 참석
의대생들 "교육 내실화" 요구에 정부 "임상 중심 교육 지원"(종합)
의과대학 교육 환경 개선을 위한 논의의 자리에서 정부와 대한의사협회(의협)가 다시 한번 의대 정원 이슈로 부딪혔다.

정부는 각 의대의 투자계획과 의지를 확인했다고 하지만, 의협과 학생 단체는 정부가 현실을 모른다며 의대 증원에 앞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보건복지부와 의협은 24일 오후 서울 중구 콘퍼런스하우스 달개비에서 제26차 의료현안협의체 회의를 열고 의대 정원 증원과 의학교육의 질 개선 등 현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대한전공의협회(대전협) 외에도 작년 1월 의료현안협의체가 출범한 이래 처음으로 교육부와 학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가 함께했다.

양동호 의협 협상단장(광주광역시의사회 대의원회 의장)은 모두발언에서 "정부는 실제 현장에 있는 의학교육의 전문가 단체가 말하는 의견을 경청해야 한다"며 "의학 교육은 강의실에 의자 몇 개 더 갖다 놓는다고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다"고 말했다.

정경실 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은 "단기간에 의대 정원을 늘렸을 때 교육의 질이 담보될 수 있을지를 우려한다는 걸 잘 안다"며 "이를 고려해 의학교육 점검반을 통해 학교의 투자계획과 의지를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 학생협회는 충분한 인프라·기자재와 교수 인력 확보, 임상실습교육 강화, 의학교육평가인증 제도 내실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대전협은 수련교육에 집중할 수 있도록 근무시간 단축, 실습병원의 다양화와 질 제고, 충실한 지도전문의 제도 운영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정성 의협 총무이사는 회의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학생과 전공의들은 지금까지 의학교육 질 제고를 위해 여러 의견을 냈는데도 반영되지 않았기에 (정부에) 신뢰가 가지 않는다고 했다"며 "전공의들은 의대 정원이 늘면 의학교육뿐만 아니라 전공의 수련 환경의 질도 저하되는 거 아니냐는 우려도 했다"고 전했다.

이에 복지부는 의학교육의 질을 담보하고자 의학교육 평가인증 기준 개선, 교수 인력 확대, 임상 중심의 교육과정 마련, 필수·지역의료 현장경험과 핵심역량 습득 지원 등 다각적인 방안을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복지부는 적정하다고 생각하는 의대 증원 규모와 그 근거를 묻는 공문에 빨리 답변을 줄 것을 의협과 대전협에 요청했다.

대전협은 규모에 대한 입장 표명 없이 이달 22일 전공의 대상 설문에서 응답자의 86%가 의대 증원 강행시 집단행동 의사를 보였다는 내용의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다만 의대생의 동맹 휴학은 아직 논의가 되지 않았다고 정부와 의협은 설명했다.

의협의 범의료계대책특별위원회도 증원 규모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은 채 25일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제1차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졸속 추진 강력 규탄 집회'를 하기로 했다.

다음 협의체 회의는 이달 31일 열릴 예정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