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코스피지수 4000이 되려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유석 한국금융투자협회장
한 해를 마무리하는 세밑이다. 직장인은 한 해의 업무를 평가받고, 내년 연봉을 협상하기도 한다. 누구나 ‘내가 한 만큼 제대로 평가받기’를 원한다. 그런데 늘 실적에 비해서 낮은 평가를 받는 곳이 있다. 우리 주식시장 얘기다.
고질적인 ‘코리아 디스카운트’ 이슈는 우리 주식시장에서 꼭 해결해야 할 과제다. 글로벌 리딩 기업군을 보유하고 있고 반도체, 배터리, 엔터테인먼트, 바이오 등 성장산업군도 훌륭한데 왜 우리 시장은 저평가되는가? 여러 해법이 있지만 우선 세 가지를 얘기하고 싶다.
첫째, 배당성향 제고다. 한국은 낮은 배당률이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돼 왔다. 2021년과 2022년 기준 한국의 배당성향은 각각 약 19%, 20%로 서구권은 물론 중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와 비교해도 낮은 수준이다. 그 결과 한국의 배당수익률(2021년)은 1.52%로 MSCI 지수 25개국 중 세 번째로 낮았다. 낮은 배당성향은 주식의 본질 가치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은 물론 장기 투자를 저해하고 매매차익 위주의 단기 거래를 초래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 기업들도 선진국 수준으로 배당을 늘릴 제도적 유인을 검토해 볼 때다.
둘째, 자사주 매입·소각 등을 통한 주주가치 제고의 확대다. 일본 사례가 귀감이 되고 있다. 일본은 주당순자산가치(PBR)가 1이 안 되는 저평가 기업에 주주가치 제고 방안을 요구했다. 자사주 매입 등이 활발히 이뤄졌고, 그 결과 올해 닛케이지수는 20% 넘게 상승하며 화답했다. 책임감 있는 행동주의펀드들의 역할도 필요한 부분이다.
셋째, 장기·간접투자를 통한 꾸준한 자금 유입이 확보돼야 한다. 코스피지수 4000이라는 높은 담장을 뛰어넘으려면 좋은 지렛대가 있어야 한다. 그 지렛대가 장기 투자다. 보험이나 부동산에 장기 보유 세제 혜택이 있는 것처럼, 자본시장에도 장기 투자를 지속시켜줄 세제 인센티브가 필요하다. 이는 세수 감소보다 훨씬 더 큰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주가지수가 레벨업되면 기업에는 자금을, 노후 생활자들에게는 안전판을 제공할 수 있다. 연기금 수익률도 제고돼 연금 고갈을 방지하고, 미국 등 선진국처럼 그 과실이 국민에게 돌아가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
10년 전에는 주식이 여의도만의 얘기였다면 지금은 대부분의 경제활동인구가 주식의 영향을 받는다. 주식시장 정책은 이제 우리 사회의 가장 중요한 정책 중 하나다. 그도 그럴 것이 작년 말 기준 주식 투자자는 1441만 명에 달했다(2017년에는 500만 명에 불과했다). 코스피지수 4000은 꿈이 아니다. 자금의 물꼬를 조금만 터주는 ‘너지(nudge)’가 있다면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우리 모두의 전향적인 고민이 필요하다.
고질적인 ‘코리아 디스카운트’ 이슈는 우리 주식시장에서 꼭 해결해야 할 과제다. 글로벌 리딩 기업군을 보유하고 있고 반도체, 배터리, 엔터테인먼트, 바이오 등 성장산업군도 훌륭한데 왜 우리 시장은 저평가되는가? 여러 해법이 있지만 우선 세 가지를 얘기하고 싶다.
첫째, 배당성향 제고다. 한국은 낮은 배당률이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돼 왔다. 2021년과 2022년 기준 한국의 배당성향은 각각 약 19%, 20%로 서구권은 물론 중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와 비교해도 낮은 수준이다. 그 결과 한국의 배당수익률(2021년)은 1.52%로 MSCI 지수 25개국 중 세 번째로 낮았다. 낮은 배당성향은 주식의 본질 가치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은 물론 장기 투자를 저해하고 매매차익 위주의 단기 거래를 초래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 기업들도 선진국 수준으로 배당을 늘릴 제도적 유인을 검토해 볼 때다.
둘째, 자사주 매입·소각 등을 통한 주주가치 제고의 확대다. 일본 사례가 귀감이 되고 있다. 일본은 주당순자산가치(PBR)가 1이 안 되는 저평가 기업에 주주가치 제고 방안을 요구했다. 자사주 매입 등이 활발히 이뤄졌고, 그 결과 올해 닛케이지수는 20% 넘게 상승하며 화답했다. 책임감 있는 행동주의펀드들의 역할도 필요한 부분이다.
셋째, 장기·간접투자를 통한 꾸준한 자금 유입이 확보돼야 한다. 코스피지수 4000이라는 높은 담장을 뛰어넘으려면 좋은 지렛대가 있어야 한다. 그 지렛대가 장기 투자다. 보험이나 부동산에 장기 보유 세제 혜택이 있는 것처럼, 자본시장에도 장기 투자를 지속시켜줄 세제 인센티브가 필요하다. 이는 세수 감소보다 훨씬 더 큰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주가지수가 레벨업되면 기업에는 자금을, 노후 생활자들에게는 안전판을 제공할 수 있다. 연기금 수익률도 제고돼 연금 고갈을 방지하고, 미국 등 선진국처럼 그 과실이 국민에게 돌아가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
10년 전에는 주식이 여의도만의 얘기였다면 지금은 대부분의 경제활동인구가 주식의 영향을 받는다. 주식시장 정책은 이제 우리 사회의 가장 중요한 정책 중 하나다. 그도 그럴 것이 작년 말 기준 주식 투자자는 1441만 명에 달했다(2017년에는 500만 명에 불과했다). 코스피지수 4000은 꿈이 아니다. 자금의 물꼬를 조금만 터주는 ‘너지(nudge)’가 있다면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우리 모두의 전향적인 고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