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김부겸, 공천 잡음 우려…의원 채팅방서 친명 출마 명단 논란도
'이낙연 신당' 견해차에 3총리 회동 실현가능성 미지수
'文정부 3총리', 민주당 통합 논의에 머리 맞댈까(종합)
더불어민주당의 분열상을 정리하고 당내 통합을 논의하고자 문재인 정부 국무총리 출신인 이낙연 전 대표와 정세균·김부겸 전 총리의 회동이 성사될지 관심이 쏠린다.

국민의힘이 한동훈 전 법무부 장관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내정하는 등 일신의 면모를 보이는 반면, 민주당은 계파 갈등만 노출되는 듯한 상황이 이어지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 '3총리'가 머리를 맞댈 가능성이 제기된다.

정 전 총리와 김 전 총리는 지난 24일 만나 당 상황을 논의하면서 3총리가 함께 모이는 문제도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 총선 국면에서 이들 세 사람이 한자리에서 만난 적은 아직 없지만, 현재 민주당을 바라보는 시각에는 이들 사이에 일정 정도 공감대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친명(친이재명) 체제가 공고해지면서 당내 민주주의가 위축되고, 최근 공천에서 비명(비이재명)계 인사가 탈락하는 등 잡음이 불거지는 데 대해 이들은 하나같이 우려를 표하고 있다.

25일에도 온라인에 돌아다니는 '더불어민주당 호남 친명 출마자 추천명단'을 두고 현역 의원이 반발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용빈 의원은 이날 의원들의 텔레그램 대화방에 전북 군산에 출마를 준비 중인 김의겸 의원, 광주 서구을에 출마를 선언한 양부남 당 법률위원장 등이 들어가 있는 해당 명단을 올리며 '치졸한 민주당 텃밭의 창피한 현실'이라고 비판했다.

이런 상황에 대한 우려를 공통분모로 삼아 세 사람이 모여 하나의 목소리를 낸다면 당 혁신과 관련해 이 대표를 향한 강도 높은 압박이 될 수 있다.

'文정부 3총리', 민주당 통합 논의에 머리 맞댈까(종합)
당내에서 '3총리 회동'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공개적으로 나온다.

박용진 의원은 25일 KBS라디오에 나와 "(세 사람이) 만나서 당에 대한 사랑과 걱정을 충분히 나누고 (대안을) 제시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비명계 이원욱 의원도 전날 정·김 전 총리 회동을 두고 "한파 속 두 총리의 발걸음이 진짜 민주당을 향하고 있다"며 전직 총리들의 역할론을 지지했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실제로 3인 회동이 성사될 확률을 아직은 높게 점치지 않는 분위기다.

탈당 후 창당을 시사한 이 전 대표의 정치적 행보에 정·김 전 총리가 부정적이기도 때문이다.

두 전직 총리는 이 전 대표가 신당을 창당하면 민주당의 총선 행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당 통합도 저해할 것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한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정 전 총리와 김 전 총리는 전날 회동에서 이 전 대표를 포함한 3인 회동에 대해 구체적으로까지 이야기를 나누지는 않았다고 한다.

이 역시 신당 창당을 둘러싼 견해차 때문으로 풀이된다.

당내에서는 28일로 추진 중인 이재명 대표와 정 전 총리 간 회동 결과까지 지켜본 뒤 세 사람의 회동이나 공동 행보 가능성을 점쳐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당 관계자는 통화에서 "20일에 김 전 총리를 만난 이 대표가 정 전 총리까지 만나면 당 통합과 관련한 어느 정도의 액션이 있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당내 비명계인 '원칙과 상식'과 함께 사실상 이 대표의 사퇴를 전제로 한 통합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요구에 이 대표가 어떤 형태로든 답을 내놓지 않고 분열상이 방치된다면 '3총리 회동'이 성사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