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의 논문, 보고서 등 ‘국가지식정보’를 온라인에서 손쉽게 볼 수 있는 ‘디지털 집현전’이 다음달 문을 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2일 제3회 국가지식정보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1차 국가지식정보 연계 및 활용 촉진 기본계획과 제2차 국가지식정보 지정, 국가지식정보 통합플랫폼 구축 현황 및 운영 계획 등 3개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정부는 국가지식정보 기본계획에 따라 법령 개정을 추진해 국가지식정보를 원칙적으로 전면 개방하고 디지털 변환이 필요한 아날로그 지식정보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한다. 구글, 네이버 등 민간 검색엔진에서 국가지식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통합 플랫폼에 검색엔진 최적화(SEO)를 적용하고 포털 서비스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등 민간 분야와 협력할 예정이다.

국가지식정보는 지난해 4억3000만 건을 지정했으며, 올해 1억5000만 건을 추가 지정해 총 5억8000만 건에 이른다. 내년 1월 문을 여는 국가지식정보 통합플랫폼(디지털 집현전)은 공공사이트 105개의 메타데이터 2억2000만 건을 연계했다. 인공지능(AI) 기반의 사용자 분석을 통해 맞춤형 지식정보 추천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장애인·고령자 등 정보 취약계층도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화면 확대, 수어 서비스 등을 적용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지식정보의 생산과 개방, 활용, 확산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를 갖추고 데이터가 중요한 AI 생태계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