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부터 설치된 콘크리트 재질…시간 지날수록 균열 심해져
폭삭 부서져 행인 빠진 맨홀 뚜껑 두께 2.5㎝…전국 곳곳 설치
최근 부산의 한 인도에서 맨홀 뚜껑이 갑자기 부서져 행인이 다친 사고와 관련해 이와 같은 종류의 맨홀이 전국 곳곳에 설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콘크리트 재질인 이 맨홀은 두께가 2.5∼5㎝에 불과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균열이 심해져 정기적인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는다.

8일 부산 동구 등에 따르면 지난 6일 오전 11시 10분께 부산 동구 좌천동 한 인도에서 20대 행인이 밟은 맨홀 뚜껑이 부서졌다.

팔을 인도에 걸친 A씨는 다행히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았으나 어깨 부상으로 병원에서 치료받고 있다.

A씨가 밟은 맨홀 뚜껑은 도시 미관상 주변과 어울리게 만들어진 이른바 '조화 맨홀'이다.

1990년대 말부터 전국 곳곳에 설치되기 시작했다.

철재로 만든 것보다 훨씬 저렴한 데다가 물건을 빠뜨릴 위험이 있는 구멍도 작은 편이라 당시 곳곳에 설치됐다.

폭삭 부서져 행인 빠진 맨홀 뚜껑 두께 2.5㎝…전국 곳곳 설치
문제는 콘크리트 재질로 만들어진 이 조화 맨홀을 설치한 지 20∼30년 가까이 지나면서 맨홀 뚜껑에 서서히 균열이 가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콘크리트는 시간이 지날수록 경화가 진행돼 장기적으로는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자재다.

부산 동구 관계자는 "사고가 난 뚜껑은 2006년 설치됐으며 두께는 2.5㎝"이라며 "당시 설치된 조화 맨홀의 두께는 2.5∼5㎝가량"이라고 말했다.

이어 "최근 출시되는 맨홀은 하부에 철판이 설치돼 있어 튼튼하지만, 과거에 설치한 것은 콘크리트 자재가 전부"라며 "일반인이 겉으로 보기에는 하부에 철판이 설치돼 있는지를 구별하기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

폭삭 부서져 행인 빠진 맨홀 뚜껑 두께 2.5㎝…전국 곳곳 설치
동구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관내 같은 종류의 맨홀 뚜껑을 확인해 교체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녹이 슬지 않는 주철 등 품질이 좋은 맨홀 뚜껑이 최근 많이 나오고 있다"며 "문제가 있는 맨홀 뚜껑의 경우 지자체가 시민 안전을 위해 직접 일일이 확인하고 교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맨홀 뚜껑 품질과 관련된 정확한 규정 역시 현재 부족한 상태인데 이를 보강하는 작업도 동반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