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티빙이 오는 12월부터 구독료를 20% 이상 올린다. 요금 인상 외엔 불어나는 적자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없다고 본 것이다.

티빙은 12월부터 신규 가입자 구독료(월 기준)를 인상하는 등 서비스를 전면 개편한다고 31일 발표했다. 베이직은 7900원에서 9500원, 스탠다드는 1만900원에서 1만3500원으로 바뀐다. 인상률은 각각 20.3%와 23.9%다. 프리미엄은 22.3% 올라 1만7000원이 된다. 티빙이 구독료를 올린 것은 2020년 출범 후 3년여 만이다.

광고를 시청하면 더 저렴하게 구독할 수 있는 ‘광고형 요금제(AVOD)’도 내년 1분기 출시한다. 이 요금제는 월 5500원으로 거의 반값이다. 광고를 보더라도 월 구독료를 낮추고 싶어 하는 이용자와 OTT에 광고를 노출하길 원하는 기업 수요를 동시에 잡겠다는 포석이다. 12월부터 티빙에서 넷플릭스처럼 콘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게 된다는 점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와이파이가 설치된 지역에서 콘텐츠를 내려받은 뒤 오프라인 상태로 감상하는 소비자가 적지 않다는 점을 감안했다는 설명이다.

티빙은 ‘넘버원 K콘텐츠 플랫폼’을 캐치프레이즈로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상황은 녹록지 않다.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 8월 국내 OTT 월 활성이용자 수(MAU) 집계에서 티빙(540만 명)은 쿠팡플레이(563만 명)에 2위 자리를 내줬다. 1위는 1223만 명을 확보한 넷플릭스다. 수익성도 악화일로다. 이 회사의 영업손실은 2020년 61억원, 2021년 762억원, 지난해 1191억원으로 계속 늘고 있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