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 개표 결과, 반대 60%로 찬성 크게 앞서
호주 '원주민 대변기구 신설' 개헌안 부결(종합)
호주에서 원주민을 호주 최초 국민으로 인정하고 이들을 대변할 헌법 기구를 세우는 내용의 헌법 개정안이 부결됐다.

앤서니 앨버니지 총리는 14일(현지시간) 개헌 찬반을 묻는 국민투표의 개표 도중 개헌안 부결을 인정했다고 AFP 통신 등 외신이 전했다.

앨버니지 총리는 대국민 연설을 통해 이번 투표 결과를 "전적으로 존중한다"면서 개헌에 대한 의견 불일치가 호주 국민을 규정하거나 분열시키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로이터 통신은 전국적으로 약 70%의 개표율을 기록한 가운데 반대가 60%로 찬성 40%를 크게 앞질렀다고 보도했다.

ABC 등 호주 방송 매체들은 6개 주(州) 모두에서 유권자 과반이 반대했을 것으로 전망했다.

투표가 의무적인 호주에서는 전국적으로 투표자 과반이 찬성하고 6개 주 중 4개 주에서 과반 찬성이 나와야 개헌안이 가결된다.

이번 선거에서는 호주 원주민(애버리지널)과 토레스 해협 도서민들을 호주 최초 국민으로 인정하고 이들을 대변할 헌법 기구 '보이스'를 설립하는 내용의 개헌에 찬성하는지를 물었다.

개헌 추진은 집권당인 노동당이 작년 5월 총선에서 내놓은 공약이었다.

앨버니지 총리를 비롯한 개헌 지지자들은 개헌을 통해 헌법에서 원주민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또 보이스를 설립하면 원주민 생활이 더 나아지는 것은 물론 국가통합에도 도움이 된다고도 했다.

반면 야당인 자유당과 국민당 연합은 헌법에 특정 인종을 명기하는 것은 호주인을 인종에 따라 차별해 사회 분열을 가져올 수 있다고 반대해왔다.

보이스도 권한이나 기능이 불명확해 위험하다고 주장했다.

이번 국민투표는 앞서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찬성 지지율이 40%대에 그쳐 부결될 가능성이 높았다.

호주 원주민은 전체 약 2천600만명 인구 가운데 3.8%에 달하며 헌법에 적시돼 있지도 않고 국내에서 사회경제적으로 가장 취약한 계층에 해당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