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정율성 기리는 게 말이 되나"…박민식 "광주·전남서도 변화 있어"
독립기념관장 '홍범도 흉상 육사 존치' 지지에 與 윤주경 "감사하다" 눈길
정율성 공원·홍범도 흉상…정무위 국감서 역사 문제 공방
국가보훈부와 독립기념관 등을 대상으로 한 국회 정무위원회의 13일 국정감사에서는 광주 정율성 공원 등 기념사업 중단,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 등의 문제를 두고 여야 간 공방이 벌어졌다.

여당은 정율성이 6·25 전쟁 당시 북한 인민군과 중공군 군가를 작곡하는 등 대한민국 체제를 위협하는 데 앞장선 점을 들어 보훈부가 광주시에 요구한 흉상 철거 등 기념사업 중단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라고 주문했다.

야당은 정율성 기념사업 철회 추진이 이념 편향적이라고 반박하는 한편 육사의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 방침을 비판했다.

국민의힘 송석준 의원은 "중공군의 침략을 정당화한 사람을 대한민국 한가운데에 공원을 조성해 의인인 양 기리는 게 말이 되나"라며 "더욱 강력하게 (사업을) 중단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이에 박민식 보훈부 장관은 "(사업 중단에 반대하던) 광주·전남에서도 일정 부분 변화가 있는 것으로 안다"며 기념사업 중단에 속도를 내겠다는 뜻을 밝혔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최종윤 의원은 "보훈부는 국가 유공자 예우가 본연의 업무인데 정율성 기념사업 중단 등 장관이 이념 논쟁에 나서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과 관련해서는 진보당 강성희 의원이 "독립기념관으로 옮겨지면 누가 봐도 육사에서 쫓겨난 흉상이라는 딱지가 붙지 않겠나"라고 비판했다.

강 의원의 지적에 한시준 독립기념관장은 사견임을 전제로 "육사에 홍범도 장군을 비롯해 독립군과 관련한 다섯 분을 모신 것은 군인의 정신이나 군의 지도자를 양성하는 사람들이 본받아야 할 대상이라는 취지"라며 "흉상은 육사에 두는 게 좋다"고 했다.

그러자 윤봉길 의사의 손녀로 독립기념관장을 지낸 국민의힘 윤주경 의원은 "홍범도 장군을 육사와 군에서 어떻게 예우해야 하는지 명확히 말씀해주셔서 감사하다"고 해 눈길을 끌었다.

한편, 여당은 지난해 공법단체로 전환된 광주 5·18 단체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국민의힘 김희곤 의원은 "최근 임원진과 관련자들의 내부 고발로 5·18 공법단체의 비위가 알려졌다"며 "보훈단체의 비위는 보훈가족 전체의 명예를 실추시킬 수 있음을 명심하고 강력히 조치해달라"고 보훈부에 촉구했다.

/연합뉴스